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0
어제:
778
전체:
776,932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676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道 路 이규 2013.08.17 2175
363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172
362 雲 集 이규 2013.08.09 2171
361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168
360 標 榜 이규 2013.08.10 2165
359 淸 貧 yikyoo 2014.06.15 2162
358 黃 砂 이규 2013.07.18 2160
357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2157
356 幣 帛 이규 2013.10.13 2157
355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2155
354 花 信 셀라비 2013.08.02 2151
353 春困症 이규 2013.07.27 2151
352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146
351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2142
350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2138
349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137
348 沐浴 [1] 이규 2013.04.08 2137
347 櫛 比 이규 2013.08.08 2134
346 至孝 이규 2012.10.29 2129
345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