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4
어제:
795
전체:
775,370

秋毫

2013.02.03 21:16

이규 조회 수:1524


秋 가을 추
毫 털 호


 秋毫-가을에 돋는 동물의 가는 털  미세함 상징

 


  秋는 벼(禾)가 햇빝(火)을 받아 여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가을’을 뜻한다.  毫는 毛와 高가 결합한 뒤 글자의 美觀을 위해 一部를 省略했다.  그런데 高는 ‘높다’는 뜻외에 ‘크다’, ‘遠大하다’, ‘길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곧 毫는 ‘길고도 가는 털’로 붓을 만드는데 자주 使用되었다.  大體로 양이나 산토끼, 족제비 털이 쓰였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 족제비의 꼬리 털로 만든 붓은 낭미필(狼尾筆)이라 하여 中國에서도 特上品으로 認定해 주었다.  그래서 毫는 ‘붓’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어 휘호(揮毫)라는 말도 있다.
  秋毫라면 ‘가을의 털’이 된다.  대체로 動物들은 여름에 실컫 먹고 가을이 되면 털갈이를 한다.  묵은 털이 빠지고 새로 나기 때문에 가을의 털은 몹시 여리고 가늘다.  솜털이라고나 할까.  여기에서 秋毫는 극히 微細한 存在를 뜻하게 되었다.
  孟子는 百姓을 중히 여기는 王道政治를 主張했던 사람이다.  齊나라의 宣王을 만나 自身의 政治觀을 披瀝할 機會가 있었다.  宣王이 자신도 王道政治를 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거기에 答했다.
  “三千 근(斤)을 족히 드는 力士가 새의 날개 하나를 들지 못하고 가을의 털끝{秋毫}까지 볼 수 있는 자가 수레에 가득 실은 장작 더미는 보지 못합니다.”  그것은 宣王이 王道政治를 할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그런 意志가 없음을 탓한 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分 野 이규 2013.05.20 1443
443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448
442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456
441 赦免 [1] 이규 2013.01.27 1457
440 波紋 이규 2013.01.27 1465
439 干 支 이규 2013.05.19 1465
438 同盟 이규 2012.12.10 1470
437 寸志 이규 2013.02.06 1487
436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489
435 氾濫 이규 2012.12.26 1497
434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501
433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506
432 園頭幕 이규 2013.02.02 1507
431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509
430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520
» 秋毫 이규 2013.02.03 1524
428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527
427 洪水 이규 2013.02.02 1533
426 告由文 이규 2013.07.08 1539
425 賂物 이규 2012.12.11 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