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80
어제:
795
전체:
775,376

師表

2013.02.04 21:21

이규 조회 수:1777


師스승 사
表겉 표


 師表-학식, 덕행에서 모법이 되는 사람

 


  師는(阜․언덕 부)와 市(잡․두를  잡)의 조합(組合),그러니까 흙을 四方으로  角이 지도록 두부모처럼 쌓아 만든 작은 언덕에서 나온 글자다. 수많은 軍士가 한 將帥  앞에 倒列해 있는 模襲으로, 본디 뜻은 「軍隊」(原來 2천5백명)다.  現在의 사단(師團)․출사표(出師表)의 「師」가 「스승」 아닌 「軍隊」를 뜻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後에 軍卒이 한 將帥 麾下에 몰려 있듯 많은 弟子가 스승 밑에 모여있다 하여 「스승」으로 전용(轉用)되었다. 사범(師範)․사부(師傅)․ 사사(師事)․사제(師弟)․교사(敎師)․은사(恩師)가 있다.
  表는 毛(털 모)와  衣(옷 의)의 結合으로 「털옷」,우리말로는 「갖옷」이다. 外套(외투)처럼 늘 바깥에 입었으므로 表는 「겉」을 뜻하게도 되었다. 표리부동(表裏同)․표명(表明)․표창(表彰)․ 표현(表現)이 있다. 參考로 속 옷을 설(猥),옷 속을 리(裏)라고 한다.
  師表는 사법표솔(師法表率)의 省略으로 學識과 人格이 높아 남의 模範이 될만한 사람을 일컫는다. 귀감(龜鑑)과 같은 뜻이다 . 이 말을 처음 使用한 이는 사마천(司馬遷)이다. 그는 『사기(史記)』「자서(自序)」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漢  나라에 현상(賢相․현명한 재상)과 양장(良將․훌륭한 장수)이 있으면 百姓의 師表로 삼을 수 있다」.
  中國 最初로 平民敎育을 擔當했던 이는 孔子다. 그래서 後世 사람들은 그를 東洋 最初의 「스승」이자 만세(萬世)의 師表로 尊敬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鳳 凰 이규 2013.06.22 1790
163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89
162 文化 이규 2012.12.03 1788
161 復舊 이규 2012.11.05 1784
160 矛 盾 셀라비 2014.08.19 1778
» 師表 이규 2013.02.04 1777
158 聖域 이규 2012.11.16 1778
157 破廉恥 이규 2012.11.24 1774
156 獅子喉 이규 2013.02.12 1773
15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71
154 管轄 이규 2012.12.20 1768
153 不惑 이규 2012.12.17 1766
152 膺懲 이규 2013.02.18 1764
151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63
150 誘 致 이규 2013.06.17 1758
149 焦眉 이규 2012.12.05 1758
148 陳 情 이규 2013.06.23 1751
147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750
146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750
145 世代 이규 2012.11.13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