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1
어제:
788
전체:
776,115

簞食瓢飮

2013.04.17 20:30

이규 조회 수:1654

簞도시락단
食밥사
瓢표주박표
飮마실음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음식


  簞은 본디 대나무(竹)로 엉성하게(單) 얽은 작은 소쿠리를 뜻하며, 食는 破音字로 ‘먹다’일 때는 ‘식’, ‘밥’일 때는 ‘사’로 發音한다.  따라서 簞食瓢飮은 ‘도시락 밥과 표주박 속의 국’으로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飮食을 뜻한다.  줄여서 簞瓢라고 한다.
  孔子는 一生동안 무려 3천명의 弟子를 두었는데 그증 가장 寵愛했던 弟子는 顔回(일명 顔淵)였다.  首弟子중의 首弟子였던 셈이다.  그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우쳤으며 워낙 학문을 좋아해 나이 29세에 벌써 白髮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德行이 뛰어나 스승인 孔子 자신도 때로 그로 부터 배울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나 造物主는 그에게 뛰어난 才能과 함께 家難을 안겨 주었다.
  그는 찢어지게 家難해 끼니 거르기를 밥먹듯 했으며 平生 지게미 조차 배물리 먹어본 조차 없을 정도였다.  그 뿐인가.  나이 서른 하나에 夭折하고 말았으니 孔子가 오죽했으면 그의 죽음을 두고 ‘하늘 탓’이라고 恨歎했을까.  그러나 그는 家難을 運命인양 받아들이고 늘 樂天的으로 살았으며 德 닦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래서 孔子는 그를 讚嘆해마지 않았다.
  “장하구나 顔回여!  簞食瓢飮과 누추한 뒷골목에 살면서도 不平이 없구나.  그럼에도 聖人의 道를 追求하기 餘念이 없으니 이 얼마나 장한가.”
  물론 지금 顔回와 같은 삶을 要求할 수는 없다.  그러나 衣食住가 解決된 지금 과연 正道를 걷고 있는 者가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雲 集 이규 2013.08.09 2153
123 標 榜 이규 2013.08.10 2153
122 道 路 이규 2013.08.17 2159
121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160
120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165
119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169
118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182
117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2185
116 執牛耳 이규 2013.11.15 2187
115 사리 셀라비 2015.04.18 2191
114 賞 春 이규 2013.08.15 2193
113 歸 順 이규 2013.07.23 2196
112 杜鵑 이규 2013.03.20 2197
111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199
110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2201
109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203
108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206
107 發祥地 이규 2013.10.20 2207
106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208
105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