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16
어제:
788
전체:
776,100

淘 汰

2013.05.28 19:52

이규 조회 수:1748

淘쌀일도
汰씻길태


 물로써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가려냄

 


 匠人이 언덕(丘)에서 甕器를 감싸고(包) 있는 것이 도(陶)이다).즉 도공(陶工)이 가마에서 도기를 만들고 있는 形狀이다.언덕 대신 물이 있는 것이 淘다.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世上이 便利해져 主婦들의 일손이 한결 가벼워졌다.밥 지을 때 쌀을 일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淸潔米까지 나와 씻을 必要도 없게 되었다.그저 전기밥솥에 앉히기만 하면 된다.그러나 옛날에는 쌀에 돌이 많았으므로 반드시 우물이나 냇가에 나가 쌀을 일어야 했다.淘는 쌀을 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물로 이물질을 골라내는 것」을 뜻한다.
  汰는 팔을 벌린 사람(大)이 물가에서 돌과 같은 異物質을 골라내고 있는 形狀이 아닌가.淘보다도 더 具體的인 模樣을 하고 있다.역시 「물을 이용해 不純物을 가려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砂金을 採取하는 模襲을 聯想하면 된다.
  이처럼 도태(淘汰) 두 자는 모두 「가려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不純物이나 異物質의 立場에서 보면 「도태되는」격이 된다. 지금처럼 競爭이 熾烈한 社會에서 淘汰되지 않으려면 不純物이나 異物質과 같은 存在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勞力하는 수밖에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正 鵠 이규 2013.06.02 1747
343 世代 이규 2012.11.13 1749
» 淘 汰 이규 2013.05.28 1748
341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749
340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749
339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750
338 陳 情 이규 2013.06.23 1751
337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753
336 誘 致 이규 2013.06.17 1759
335 焦眉 이규 2012.12.05 1763
334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63
333 膺懲 이규 2013.02.18 1765
332 管轄 이규 2012.12.20 1768
331 不惑 이규 2012.12.17 1773
330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74
329 破廉恥 이규 2012.11.24 1777
328 獅子喉 이규 2013.02.12 1778
327 師表 이규 2013.02.04 1779
326 聖域 이규 2012.11.16 1781
325 復舊 이규 2012.11.05 1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