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7
어제:
778
전체:
776,909

正 鵠

2013.06.02 17:01

이규 조회 수:1752

正바를정
鵠과녁곡


 과녁의 한가운데. 핵심

 


 활쏘기에서 勝負를 가리기 위해서는 과녁이 있어야 한다.과녁 전체를 적(的),正四角形의 과녁 바탕을 후(侯)라고 하는데, 천으로 만들면 포후(布侯),가죽으로 만들면 피후(皮侯)라고 불렀다.侯에는 同心圓 몇개와 한가운데 검은점이 있는데 布侯면 ‘정(正)’,皮侯면 ‘곡(鵠)’이라고 했다.곧 만점짜리가 ‘정곡(正鵠)’ 셈이다.따라서 ‘正鵠을 찔렀다’는 말은 正確하게 과녁의 中心을 맞혔다는 뜻이다.‘적중(的中)’ 이라고도 한다.
 正鵠이 과녁을 뜻한 데에는 까닭이 있다.正이 옛날에는 ‘솔개’의 이름이기도 했다.작은데다 敏捷(민첩)하며 높이 날므로 활로 맞히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鵠은 ‘고니’다.이놈 역시 높이 날므로 맞히기가 매우 어렵다.따라서 과녁중 가장 맞히기 힘든 부분을 ‘正鵠’이라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混同이 있는 것같아 몇자 添附한다.鵠이 ‘과녁’을 지칭할 때는 ‘곡’이지만 ‘새’를뜻할 때는 ‘혹’으로 發音해야 한다.고니의 優雅한 姿態와 높이 나는 氣像은 사나이 大丈夫의 遠大한 抱負를 象徵한다.
 대체로 ‘기러기’를 뜻하는 ‘홍(鴻)’과 함께 홍혹(鴻鵠)이라 하며, 그 反對를 연작(燕雀․제비와 참새 즉 小人輩)이라 한다. 흔히 ‘홍곡’이라 하는데 주의를 요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幾 何 이규 2013.09.24 2530
443 改 革 이규 2013.09.19 2530
442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527
441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510
440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501
439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491
438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481
437 鷄肋 셀라비 2014.12.17 2477
436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458
435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454
434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444
433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437
432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423
431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412
430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410
429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97
428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390
427 百 姓 이규 2013.10.06 2389
426 迎 入 [1] 이규 2013.06.18 2388
425 郊 外 이규 2013.07.28 2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