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8
어제:
778
전체:
776,900

國 家

2013.06.10 21:48

이규 조회 수:1598

國나라국
家집가


 농경시대 땅의 경계선

 

  國은 一定한 구역(口)의 땅(一․지평선)에 사람(口․입)이 살고 있고, 그들을 保護하기 위해 武器(戈․창․군대)를 갖추고 있는 模襲이다.재미있는 것은 甲骨文에는 창과 사람뿐이다.그저 猛獸로부터 사람을 保護하면 足했던 것이다.後에 定着生活로 農耕地가 必要했다.하지만 淳朴했던 데다 肥沃한 땅이 널려 있었으므로 境界線도 必要없었는데 이때의 國자가 혹(或)이다.後에「혹시」의 뜻으로 전용(轉用)되었으므로 땅을 뜻하는 「토(土)」자를 덧붙여 역(域)자를 만들었다.
 나중에 오면 慾心이 생겨 남의 땅을 넘보기 시작했다.따라서 境界線이 必要하기는 했지만 分明하지 않아도 됐다.그래서 四角形이 아닌 圓形에 가까웠다.
그러나 다시 그 뒤에 오면 人心이 매우 사나워져 國境線도 分明하게 그을 必要가 있었다.그것이 현재의 國자로 완벽한 正四角形(口)模襲을 하고 있다.이때부터는 단 한 뼘의 땅도 讓步하지 않게 되었다.
  人類는 이제 農耕定着生活을 하면서 家畜도 기르게 되었다.家는 집밑에 돼지(豕)가 있는 模襲이다.먼 옛날에는 사람이 돼지와 함께 한 집에서 살았음을 의미한다.지금도 東南亞나 아마존강의 오지(奧地)에 가보면 家畜과 함께 사는 原住民들을 볼 수 있다.또 한가지 알 수 있는 것은 家畜중에 돼지를 第一 먼저 길렀다는 사실이다.이처럼 漢字를 익히면 옛 人類의 삶까지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푼돈 셀라비 2015.07.14 3366
463 퉁맞다 이규 2015.06.28 3364
462 애벌빨래 이규 2015.05.21 3350
461 섭씨 셀라비 2015.05.19 3345
460 如意 이규 2012.12.04 3311
459 잡동사니 이규 2015.05.26 3280
458 婚 姻 이규 2013.10.08 3111
457 閏月 이규 2012.11.08 3073
456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926
455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900
454 無用之用 셀라비 2014.10.21 2878
453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819
452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791
451 國 語 이규 2013.09.29 2682
450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610
449 監 獄 이규 2013.09.02 2597
448 裁 判 이규 2013.08.21 2586
447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578
446 兒 童 이규 2013.10.09 2564
445 復 古 셀라비 2014.03.04 2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