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99
어제:
776
전체:
770,935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593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道 路 이규 2013.08.17 2053
123 沐浴 [1] 이규 2013.04.08 2057
122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57
121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061
120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61
119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63
118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065
117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068
116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069
115 至孝 이규 2012.10.29 2070
114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73
113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74
112 誣 告 이규 2013.07.24 2081
111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86
110 賞 春 이규 2013.08.15 2088
109 執牛耳 이규 2013.11.15 2088
108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94
107 發祥地 이규 2013.10.20 2103
106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105
105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