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99
어제:
776
전체:
770,935

景福

2012.10.31 20:48

셀라비 조회 수:1594

景 빛 경

福 복 복

 

경복-  임금의 덕과 만수무강을 기원

 

景은 日(날 일)과 京(서울 경)의 결합,

 京은 높은 망루(望樓)의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망루(京) 밑에 짐(口)을 놓아둔 모습이 高(높을 고)다. 어쩐지 비슷하다.

망루는 적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해 대체로 도읍지에 세웠으므로 후에는 ‘서울’이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景은 ‘해(日)가 높이(京) 떠있는 모습’에서 빛․경치․밝다는 뜻(景觀. 景致.背景. 風景)이 있으며, 해는 크므로 ‘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福은 귀신(示)의 가호로 재물을 가득 차게 해주는 것(幅)이다.

일례로 수레(車)에 가득 차면 輻(바큇살 폭), 집이 재물로 가득 차면 富(부유할 부)다.  고로 景福은 ‘커다란 福’, 곧 大福인 셈이다.
  [詩經]의 {기취(旣醉․잔뜩 술에 취함)}편은 제사가 끝난뒤 天子의 福을 비는 노래인
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旣醉以酒(기취이주) - 임금이 내리신 술 나 이미 취했네
     旣飽以德(기포이덕) - 임금의 큰 덕에 배가 이미 부르다네
     君子萬年(군자만년) - 원컨대 우리 임 천년 만년 사시고
     介爾景福(개이경복) - 큰 복 누리사와 만수무강하옵소서.


  곧 景福은 임금의 德과 萬壽無疆, 그리고 큰 福을 祈願한다는 深奧한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漢字를 앎으로써 민족의 문화 유산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닌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827
123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943
122 鷄 肋 이규 2014.05.15 1828
121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931
120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775
119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4
118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1918
117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30
116 娑 魚 셀라비 2014.06.03 1856
115 杞 憂 셀라비 2014.06.05 1671
114 華 燭 셀라비 2014.06.08 1773
113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844
112 凱 旋 yikyoo 2014.06.11 1753
111 喜 悲 셀라비 2014.06.12 1762
110 淸 貧 yikyoo 2014.06.15 2033
109 富 貴 셀라비 2014.06.16 1951
108 回 甲 셀라비 2014.06.19 1979
107 濫 觴 셀라비 2014.06.20 1852
106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2013
105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