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72
어제:
815
전체:
773,173

한자 人 倫

2013.07.29 20:45

이규 조회 수:2241


人사람인
倫차례륜


 사람으로서의 도리

 


  人은 사람이 팔을 앞으로 비스듬히 내밀고 서있는 模襲을 그린 典型的 象形文字다. 그러나 極少數를 除外하고는(今․介․仄․企 등 ) 글자의 美觀을 考慮해 「人」으로 바뀐다(仁․仇․仕․他․任 등 ). 이런 傾向은 서예(書藝)라는 독특한 分野를 탄생시켰다.
 倫은 사람․집․冊의 合成字인데 侖은 세개의 線이 모여 있는 形態로서 「모으다(集)」,冊은 종이의 代用品이었던 대나무 쪽, 즉 竹簡에 끈(一)을 꿴 形態다. 곧 竹簡을 모으는 것이 「侖」으로 그것은 책으로 펴내기 위해서다. 冊으로 펴내기 위해서는 竹簡을 次例로 配列해야 한다. 그래서 「侖」은 「순서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말(言)에 順序있고 條理있는 것이 논(論),실로 順序있게 짠 것이 綸(실끈 륜), 차(車)에 順序있게 달려 있는 것이 輪(바퀴 륜)이다.  그러므로 人倫은 사람과 사람간의 順序가 아닐까. 특히 孝(父子)․忠(君臣)․別(夫婦)․信(親舊)․序(어른과 아이)는 人倫의 根本으로 五倫이라고 한다. 그 人倫을 짓밟는 것이 패륜(悖倫)이다.
  孔子의 가르침이 現代生活에 다 맞는 것도 아니고,또 다 實踐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무려 2천5백년이 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人倫을 强調한 것만은 時代를 超越해 빛을 발하고 있다. 특히 物質萬能主義에 빠져 人間性이 메말라가는 이 때 그의 가르침은 더욱 소중히 와닿는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2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475
241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464
240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463
239 鷄肋 셀라비 2014.12.17 2459
238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448
237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440
236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428
235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413
234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409
233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385
232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385
231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362
230 郊 外 이규 2013.07.28 2350
229 百 姓 이규 2013.10.06 2344
228 舊 臘 이규 2013.08.16 2338
227 包靑天 이규 2013.09.15 2333
226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332
225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330
224 蹴 鞠 이규 2013.07.16 2329
223 總 統 이규 2013.08.19 2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