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09
어제:
788
전체:
776,093

燕雀鴻鵠

2012.12.01 19:55

이규 조회 수:1442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혹

 

燕雀鴻鵠-군자와 소인배는 차원이 다름


흔히 ‘次元이 다르다’는 말을 한다.  莊子에 보면 ‘하루살이 버섯은 그늘을 모르고, 매미는 가을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次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새 중에서도 次元이 다른 것이 있다.  기러기나 고니는 그 큰 몸집에다 높은 蒼空을 훨훨 날아 다닌다.  그래서 이 두 새는 예부터 ‘君子’의 象徵이었다.  반면 제비나 참새는 기껏해야 땅위를 스치듯 날며 모기 따위의 보잘 것 없는 벌레나 잡아 먹고 산다.  따라서 九萬里 蒼空을 나는 기러기나 고니의 氣像을 알기나 하랴.
  陳勝(字는 涉)은 秦나라 末期 한 부잣집의 일개 머슴이었다.  하루는 밭을 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歎息이 나왔다.  “將次 큰 인물이 되면 결코 오늘을 잊지 않으리라!”  그러자 周圍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고 나섰다.  “뭣이라고?  머슴인 주제에 큰 인물이 되겠다고?”  陳勝은 안타까운 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雄大한 抱負를 알랴!”
  後에 陳勝은 吳廣과 함께 反旗를 들면서 有名한 말을 남겼다.  “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을소냐?”  이 때부터 燕雀은 ‘小人輩’, 鴻鵠은 ‘君子’를 뜻하게 되었다.
  一部에서 鴻鵠(홍혹)을 ‘홍곡’으로 발음하는데 鵠이 ‘과녁’을 뜻하는 경우(正鵠, 鵠的 등)가 아니면 ‘혹’으로 發音하는 것이 옳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657
221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612
220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893
219 白 眉 셀라비 2014.09.26 1659
218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589
21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2133
216 古 稀 셀라비 2014.09.22 1653
215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2062
21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2135
21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727
21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2108
21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256
21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675
20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738
20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806
20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2074
20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787
20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2087
20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2012
20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