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1
어제:
781
전체:
777,694

한자 鴛 鴦

2013.12.01 18:18

이규 조회 수:2052

鴛 鴦

원앙새

원앙새

 

 

다정한 새 부부의 상징새

 

 

鴛鴦衾(원앙금) 버혀 놓고 오색선 펼쳐내어 / 금자에 겨누어서 임의 옷 지어내니 / 手品은 카니와 制度도 가잘시고 松江 鄭澈思美人曲一部이다.

은 수컷, 은 암컷이다. 鴛鴦은 다정하기로 이름나 일단 짝을 맺으면 떨어질줄 모른다. 함께 날고 헤엄치며 심지어는 서로 목을 꼬면서 잠을 잔다고 한다. 또 짝이 죽으면 守節하는데, 어떤 것은 상심한 나머지 먹지 않고 굶어 죽는 것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鴛鴦을 필조(匹鳥짝새)라고도 하며, 또한 琴瑟(금실) 좋은 夫婦象徵이기도 하여 베개나 이불에 鴛鴦形象을 수 놓기도 한다.

中國 宋나라 때 한붕(韓朋)이라는 사람의 아내는 絶世佳人이었다. 陰蕩한 강왕(康王)이 그녀를 빼앗아 愛妾으로 삼자, 韓朋自決하고 말았다. 그러자 아내도 뒤따라 自決했다. 男便合葬해 줄 것을 遺言으로 남겼지만 못된 康王은 일부러 두사람의 무덤을 따로 써 주었다. 그후 무덤에 가래나무가 한그루씩 자라났는데 가지와 뿌리가 서로 엉켜 있었다. 더욱 이상한 것은 매일 아침 저녁 鴛鴦 한 쌍이 날아와 목을 꼬고 슬피 우는 것이었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그것을 韓朋 夫婦靈魂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본디 鴛鴦은 다정한 현인(賢人)’이나 友愛 깊은 형제(兄弟)’를 뜻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 輓 歌 셀라비 2014.07.15 2088
141 蛇 足 셀라비 2014.10.24 2087
140 猪 突 이규 2013.11.27 2087
139 天安門 이규 2013.09.22 2087
138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2085
137 佳人薄命 셀라비 2014.11.18 2077
136 富 貴 셀라비 2014.06.16 2073
135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2068
134 問 津 이규 2013.10.25 2067
133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2065
132 動 亂 이규 2013.09.16 2061
131 會 計 이규 2013.08.05 2061
130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2060
129 洞 房 셀라비 2014.07.02 2053
128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2053
» 鴛 鴦 이규 2013.12.01 2052
126 嘗 糞 이규 2013.07.19 2052
125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2051
124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2048
123 非 理 이규 2013.09.26 2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