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8
어제:
776
전체:
770,944

한자 庭 訓

2014.01.03 21:42

이규 조회 수:1858

庭 訓

곧을

가르칠

 

 

뜰에서 가르치거나 가르침을 받음

 

 

정훈庭訓 뜰에서 가르친다거나 가르침을 받는다는 뜻이다그러니까 父母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경우가 되겠다貴族 專有物이었던 敎育 平民에게까지擴大 이는 공자孔子였다그의 뜻을 繼承 맹자孟子역시 敎育 매우重視했으며 「敎育이라는 말이 그로부터 나왔다현재  3국의 敎育熱 높은 것도  孔子 孟子와 관계가 있다

 孔子 敎育 임했던 原則 하나 있었다유교무류有敎無類), 열심히 가르치되 差別 두지 않는 것이었다심지어 그는 自己 아들조차 一般 弟子 다름없이 가르쳤다그의 弟子중에 진항陳亢 있었다그는 스승께서 當身 아들인 백어伯魚만은 남다르게 가르쳤을 거라고 여기고 있었다그래서伯魚에게 물어 보았다

스승으로부터 특별한 가르침이라도 받은  있소?』 『아니오, 그저 뜰에 앉아 계실   앞을 지나가는데 불러 세우시고는 시  强調했을 뿐입니다.』 意外 對答 듣고 陳亢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공연히 疑心 품었던 자신이 부끄러울 뿐이었다孔子有敎無類精神 아들이라고例外 없었던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054
81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57
80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64
79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068
78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073
77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74
76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76
75 誣 告 이규 2013.07.24 2085
74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88
73 賞 春 이규 2013.08.15 2092
72 執牛耳 이규 2013.11.15 2095
71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107
70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107
69 發祥地 이규 2013.10.20 2107
68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111
67 苦 杯 이규 2013.08.03 2116
66 快 擧 이규 2013.07.21 2118
65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122
64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125
63 改 閣 이규 2013.08.26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