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98
어제:
778
전체:
776,860

한자 雲 集

2013.08.09 21:55

이규 조회 수:2155

雲 集

구름

모일

 

 

구름과 새떼처럼 몰려듦

 

 

은 비()가 올 듯한 氣運이 뭉게뭉게() 떠있는 形象으로 구름을 뜻한다. 한편 (새 추)(나무 목)合成字. 는 새의 模襲을 그린 글자다. 전혀 닮지 않았는데 그것은 그만큼 漢字가 많이 변했기 때문이다. 새를 뜻하는 글자에 조()도 있다. 굳이 區別한다면 꽁지가 긴 것이 ()짧은 것이 . 따라서 이라면 새()가 나무()위에 앉아 있는 模襲을 뜻한다. 그런데 새는 떼를 지어 산다. 그래서 본디 자는 나무 위에 가 셋이나 있는 形態였는데, 너무 複雜했으므로 現在의 한마리로 줄였을 뿐이다.

雲集이라면 사람이 구름이나 새떼처럼 모여들어 문전성시(門前成市)가 되는것을 말한다. 진시황(秦始皇)이 죽고 아들 호해(胡亥)가 섰지만 사치(奢侈)와 포악(暴惡)은 오히려 전보다 더했다. 百姓은 도저히 견딜 수가 없었다. 이때 진승(陳勝)軍士를 모아 반란(叛亂)을 일으켰다. 擧兵 소식을 듣고는 天下百姓들이 그의 휘하(麾下)로 몰려 들었다. 사마천(司馬遷)사기(史記)에서 그것을 雲集이라고 表現했다. 마치 구름이 모이고 새떼가 나무위에 몰려 있는 것과 같다고 보았던 것이다. 陳勝反亂契機은 마침내 하게 된다. 雲集反對가 무산(霧散)이다. 안개처럼 흩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漢字에는 自然現狀을 빗대어 만든 재미있는 單語가 많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809
21 杞 憂 셀라비 2014.06.05 1808
20 家 臣 셀라비 2014.02.24 1808
1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792
18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754
17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745
1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742
15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732
14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690
13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685
12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678
11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677
10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675
9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659
8 白 眉 셀라비 2014.09.26 1659
7 古 稀 셀라비 2014.09.22 1657
6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653
5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650
4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635
3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