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0
어제:
778
전체:
776,922

騎虎之勢

2013.04.01 21:47

이규 조회 수:1796

騎 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권세 세

 

기세를 유지해 박력있게 일을 추진함


  進退兩難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다.  사실 일을 벌여 놓고 보면 도중에 그만 두려고 해도 그만 둘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주저하지 말고 그 氣勢를 그대로 유지해 迫力있게 推進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것을 뜻하는 말이 騎虎之勢이다.  ‘호랑이를 탄 形勢’라는 뜻이다.  호랑이를 잡으러 산에 올라 갔다가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자 그만 엉겁결에 호랑이 등에 올라탔다.  등에서 내리면 물려 죽고 만다.  이럴 때는 그대로 계속 타고 있을 수 밖에 없다.
  魏晋南北朝 360년의 분열을 통일한 이는 양견(楊堅)이다.  그는 본디 北朝의 北周 선제(宣帝)의 丈人이었다.  宣帝가 죽고 아들 정제(靜帝)가 섰지만 나이가 워낙 어려 그는 손쉽게 帝位를 찬탈(簒奪),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隋라 하였으며, 자신은 文帝라 하였다.  그의 皇后 독고(獨孤)씨는 女傑로 일찍이 남편의 野心을 잘 알고 있었다.
  宣帝가 죽자 楊堅은 드디어 天下를 簒奪하겠다는 생각을 품게 된다.  물론 반대하는 세력도 만만치 않았다.  하루는 楊堅이 擧事를 劃策하기 위해 宮中에 들어가 있는데 獨孤씨가 몰래 사람을 보내 密書를 전해 왔다.
  “범을 탄 이상 도중에 내려서는 위험합니다.  범과 함께 최후까지 달려야 합니다.  이미 큰일을 저지른 이상 후회말고 밀어 붙여 목적을 달성토록 하소서.”
  楊堅은 아내의 말에 크게 鼓舞되어 그 길로 靜帝를 脅迫, 天下를 차지할 수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469
261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2052
260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616
259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260
258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456
257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4098
256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334
255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219
254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2105
253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2103
252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2043
251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497
250 蹴 鞠 이규 2013.07.16 2360
249 黃 砂 이규 2013.07.18 2159
248 嘗 糞 이규 2013.07.19 2034
247 快 擧 이규 2013.07.21 2297
246 歸 順 이규 2013.07.23 2211
245 誣 告 이규 2013.07.24 2230
244 家 庭 이규 2013.07.25 2126
243 春困症 이규 2013.07.27 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