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20
어제:
800
전체:
774,521

한자 獨眼龍

2014.07.05 19:22

셀라비 조회 수:1896

獨眼龍

홀로

 

외눈으로서 높은 덕을 지닌 사람

 

의종(懿宗) 末期 山東 地方에 큰 水災와 가뭄이 번갈아 들었다. 그러나 稅金 徵收는 여전히 苛酷하여 農民들이 견디다 못해 蜂起하였다. 이 때 황소(黃巢)는 왕선지(王仙之)와 손을 잡고 各地를 쳐서 급속히 그 勢力增强시켜 나갔다. 얼마 안가서 黃巢洛陽을 빼앗고 이어 都邑 長安陷落시키고, 스스로 齊帝라 칭하고 大齊國을 세웠다.

이에 성도(成都)避身하였던 희종(僖宗)은 돌궐족 地域의 사타부(沙陀部) 出身 이극용(李克用)으로 하여금 4軍士反擊하게 하였다. 그런데 李克用은 애꾸눈이었기 때문에 獨眼龍이라고들 하였다.

李克用은 젊었어도 勇猛스러워 群衆에서 이아아(李啞兒)라 하였다. 한눈이 애꾸인 그가 한 사람이 됨에 또 獨眼龍이라고들 부른다(五代史, 唐記). 僖宗 黃巢叛亂을 일으켰으나, 李克用이 이를 擊破하였다. 그 때 사람들이 애꾸눈인 그가 勇猛이 있으므로 獨眼龍이라고 불렀다(唐書)”.

李克用唐軍 總帥山東에 들어가 黃河를 건너는 叛亂軍一擊, 하구(瑕丘)에서 黃巢軍決定的으로 무찔렀고 黃巢戰死하였다. 李克用은 그 功積으로 농서군(壟西郡) 이 되었으나, 怨讐 사이였던 주전충(朱全忠)得勢失意속에 살다가 世上을 떠나고 말았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2101
161 中 國 이규 2013.09.03 2098
160 家 庭 이규 2013.07.25 2097
159 選 良 이규 2013.08.07 2095
158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2090
157 知 音 셀라비 2014.03.24 2087
156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2079
15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2077
154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2076
153 瓦 解 이규 2013.08.18 2068
152 輓 歌 셀라비 2014.07.15 2066
151 猪 突 이규 2013.11.27 2065
150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2061
149 回 甲 셀라비 2014.06.19 2060
148 拍 車 셀라비 2013.12.19 2060
147 效 嚬 셀라비 2013.10.24 2056
146 壓 卷 이규 2013.11.18 2055
145 妄 言 이규 2013.09.20 2055
144 破 格 이규 2013.10.07 2049
143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2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