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1
어제:
781
전체:
777,694

한자 人 倫

2013.07.29 20:45

이규 조회 수:2293


人사람인
倫차례륜


 사람으로서의 도리

 


  人은 사람이 팔을 앞으로 비스듬히 내밀고 서있는 模襲을 그린 典型的 象形文字다. 그러나 極少數를 除外하고는(今․介․仄․企 등 ) 글자의 美觀을 考慮해 「人」으로 바뀐다(仁․仇․仕․他․任 등 ). 이런 傾向은 서예(書藝)라는 독특한 分野를 탄생시켰다.
 倫은 사람․집․冊의 合成字인데 侖은 세개의 線이 모여 있는 形態로서 「모으다(集)」,冊은 종이의 代用品이었던 대나무 쪽, 즉 竹簡에 끈(一)을 꿴 形態다. 곧 竹簡을 모으는 것이 「侖」으로 그것은 책으로 펴내기 위해서다. 冊으로 펴내기 위해서는 竹簡을 次例로 配列해야 한다. 그래서 「侖」은 「순서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말(言)에 順序있고 條理있는 것이 논(論),실로 順序있게 짠 것이 綸(실끈 륜), 차(車)에 順序있게 달려 있는 것이 輪(바퀴 륜)이다.  그러므로 人倫은 사람과 사람간의 順序가 아닐까. 특히 孝(父子)․忠(君臣)․別(夫婦)․信(親舊)․序(어른과 아이)는 人倫의 根本으로 五倫이라고 한다. 그 人倫을 짓밟는 것이 패륜(悖倫)이다.
  孔子의 가르침이 現代生活에 다 맞는 것도 아니고,또 다 實踐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무려 2천5백년이 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人倫을 强調한 것만은 時代를 超越해 빛을 발하고 있다. 특히 物質萬能主義에 빠져 人間性이 메말라가는 이 때 그의 가르침은 더욱 소중히 와닿는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杜 撰 셀라비 2014.07.10 1938
223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936
222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933
221 梅 雨 이규 2013.07.11 1933
220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933
219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930
218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928
217 首鼠兩端 셀라비 2014.09.29 1926
216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923
215 風塵 이규 2013.02.06 1922
214 脾 肉 셀라비 2014.02.10 1920
213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918
212 茶 禮 셀라비 2014.01.09 1914
211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905
210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905
209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904
208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901
207 自 治 이규 2013.09.18 1901
206 鼓腹擊壤 셀라비 2014.05.26 1899
205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