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7
어제:
795
전체:
775,363

淘 汰

2013.05.28 19:52

이규 조회 수:1737

淘쌀일도
汰씻길태


 물로써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가려냄

 


 匠人이 언덕(丘)에서 甕器를 감싸고(包) 있는 것이 도(陶)이다).즉 도공(陶工)이 가마에서 도기를 만들고 있는 形狀이다.언덕 대신 물이 있는 것이 淘다.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世上이 便利해져 主婦들의 일손이 한결 가벼워졌다.밥 지을 때 쌀을 일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淸潔米까지 나와 씻을 必要도 없게 되었다.그저 전기밥솥에 앉히기만 하면 된다.그러나 옛날에는 쌀에 돌이 많았으므로 반드시 우물이나 냇가에 나가 쌀을 일어야 했다.淘는 쌀을 이는 모습에서 나온 글자로 「물로 이물질을 골라내는 것」을 뜻한다.
  汰는 팔을 벌린 사람(大)이 물가에서 돌과 같은 異物質을 골라내고 있는 形狀이 아닌가.淘보다도 더 具體的인 模樣을 하고 있다.역시 「물을 이용해 不純物을 가려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砂金을 採取하는 模襲을 聯想하면 된다.
  이처럼 도태(淘汰) 두 자는 모두 「가려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不純物이나 異物質의 立場에서 보면 「도태되는」격이 된다. 지금처럼 競爭이 熾烈한 社會에서 淘汰되지 않으려면 不純物이나 異物質과 같은 存在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勞力하는 수밖에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露 骨 이규 2013.05.29 1381
» 淘 汰 이규 2013.05.28 1737
162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87
161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524
160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94
159 西 方 이규 2013.05.23 1650
158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94
157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604
156 分 野 이규 2013.05.20 1441
155 干 支 이규 2013.05.19 1463
15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39
153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508
15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549
151 關 鍵 이규 2013.05.14 1678
150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97
14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95
148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877
147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81
14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331
14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