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65
어제:
781
전체:
777,608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682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長蛇陣 이규 2013.02.03 1710
123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709
122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708
121 刑罰 이규 2013.02.01 1708
120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707
119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703
118 所聞 이규 2013.02.01 1703
117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701
116 瓦斯 이규 2013.02.12 1701
115 前 轍 이규 2013.06.24 1693
114 人質 이규 2012.12.27 1693
11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692
11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692
111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691
110 關 鍵 이규 2013.05.14 1689
109 名分 이규 2013.02.11 1689
108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85
107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683
106 戰 國 이규 2013.06.09 1683
» 菽麥 이규 2013.02.02 1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