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01
어제:
815
전체:
773,602

封套

2012.11.19 21:02

이규 조회 수:1594

封 봉할 봉
套 껍질 투

 

封套- 봉해 덮어 씌우는 것.


封이 部族간의 境界를 表示하려고 둑에 심은 나무에서 비롯되었고 후에는 ‘諸侯에게 땅을 封하는 것’으로 발전, ‘封하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套는 크고(大) 긴것(長)으로 ‘덮어 씌우다’는 뜻이다.  參考로 장갑을 ‘수투(手套)라고 한다.  덮어 씌우면 가지런하게 되므로 套는 ’세트‘, ’짝‘, ’틀‘, ’버릇‘의 뜻도 가지고 있다.  투습(套習), 語套, 常套的 등의 表現이 있다.  그러니까 封套는 ’封해 덮어 씌우는 것‘이란 뜻이 된다.  지금은 廣範圍하게 使用되고 있지만 본디 公文書를 담은데서 비롯돼었다.
  의심 많기로 有名한 中國 사람들이 傳令을 시켜 각종 公文書를 수발(受發)하자니 통 마음이 놓이지 않았다.  그래서 죽간(竹簡-대나무쪽)으로 된 公文書를 묶은 다음 진흙으로 쌌는데 그것을 봉니(封泥)라고 했다.  그러나 그것도 不足해 진흙에다 一定한 表示를 했는데 그것이 현재 도장(圖章)의 始初가 됐다.
  지금도 計器나 出入裝置 따위에 납으로 封印해 두는 겨우가 있다.  그렇다면 그것은 ‘봉연(封鉛)’이 아닌가.  후에 종이가 발명된 뒤 진흙 처리가 불가능해 지자 現在의 封套로 바뀌면서 그냥 도장만 찍었다. 

그렇다면 封套는 疑心의 産物인 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文化 이규 2012.12.03 1773
323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75
322 復舊 이규 2012.11.05 1778
321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81
320 鳳 凰 이규 2013.06.22 1781
319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782
318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787
317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788
316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788
315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89
314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93
313 觀 察 셀라비 2014.03.28 1793
312 杞 憂 셀라비 2014.06.05 1795
311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795
310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795
309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798
308 官 吏 셀라비 2014.03.23 1800
307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800
306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801
305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