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85
어제:
815
전체:
773,786

黔驢之技

2012.12.01 13:54

홍석균 조회 수:2408

黔(검을 검)驢(나귀 려)之(갈 지)技(재주 기)
당나귀의 뒷발질로 보잘것 없는 기량을 비웃는 말이다.
지금의 귀주성을 옛날에는 검이라고 했는데, 이 검 지방에는 원래 당나귀라는 짐승이 없었다.
이 지방 사람 하나가 멀리 여행을 떠났다가 고향으로 돌아오는 길에 당나귀 한 마리를 사서 배에 싣고 왔다.
그러니 당나귀를 처음 보는 사람들이 신기해서 눈이 휘둥그래질 수밖에 없었다.
당나귀 주인은 호기심에다 우쭐하게 튀고 싶은 마음으로 그 짐승을 가져오긴 했으나, 어떻게 기르고 무엇에
쓸지 몰라 난감했다.
그래서, 일단 마을 근처 야산에다 풀어 놓아 기르기로 했다.
그런데, 그 산에는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이크, 저게 뭐지?"
호랑이는 지금까지 당나귀를 본 적이 없었으므로 강적인가 하여 감히 접근하지 못하고 숨어서 한동안 동태를
엿보기로 했다.
그 때, 당나귀가 "히힝" 하고 울었다.
난생 처음 들어본 소리라 순간적으로 호랑이는 그 짐승이 자기를 잡아먹으려는 줄 알고 혼비백산하여 줄행랑을 놓았다.
"휴, 혼났네.
그렇지만 내 체면에 이게 뭐야.
내가 명색이 이 산의 왕으로 군림해 왔는데, 뭔지도 모르는 이상한 녀석한테 미리 겁먹고 떨다니"
이렇게 생각한 호랑이는 되돌아가서 다시 당나귀의 동태를 엿보기로 했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그 귀 큰 짐승이 별볼일 없는 존재인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일단 시험해 보기로 하고, 숨어 있던 곳에서 나와 당나귀 주위를 빙빙 돌면서 덤벼들 듯이 위협하는 시늉을
하였다.
그 당나귀 역시 호랑이란 짐승을 보았을 리가 없었다.
"넌, 뭐냐"
당나귀는 겁도 없이 유일한 무력 수단인 뒷발질로 호랑이를 걷어 차려고 했다.
그러나 이 단 한번의 행동으로 자기 기량을 폭로해버린 셈이다.
"흥, 겨우 이 정도였군."
그제야 마음을 놓은 호랑이는 달려들어 순식간에 당나귀를 잡아 먹어 버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6334
2242 나의 경쟁상대는 과거의 나 셀라비 2014.06.23 2366
2241 성공은 선불이다 LeeKyoo 2022.01.20 2367
2240 못된 지도자와 위대한 지도자 LeeKyoo 2021.06.02 2368
2239 아픔을 즐기는 것이 일류 인생, 아픔을 외면하지 말라. [1] 셀라비 2014.04.03 2369
2238 스트레스를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자 LeeKyoo 2021.05.17 2369
2237 성과를 바란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LeeKyoo 2022.09.23 2370
2236 남과 비교 따윈 필요 없다 LeeKyoo 2021.05.15 2371
2235 나를 버려야 내가 산다. 셀라비 2014.07.25 2372
2234 언제나 저는 학생입니다 LeeKyoo 2021.05.25 2372
2233 욕심 부려 더 많이 더 많이 원한다면 LeeKyoo 2021.06.03 2375
2232 복은 재앙의 은신처다 LeeKyoo 2021.11.11 2376
2231 장애물을 보는 사람, 목표를 보는 사람 셀라비 2014.03.19 2377
2230 들리지 않는 것을 들을 줄 아는 능력 셀라비 2014.07.08 2378
2229 성공은 결과가 아닌, 계속 노력하는 과정 LeeKyoo 2021.05.21 2381
2228 꿈꾸게 하라! 상상력이 세계를 지배한다 LeeKyoo 2021.06.23 2381
2227 車水馬龍 홍석균 2012.11.28 2382
2226 고객불만과 고객충성도의 상관관계 LeeKyoo 2021.05.14 2384
2225 작은 성공(small success)이 큰 성공을 부른다 LeeKyoo 2022.10.14 2386
2224 빨리 바꿀 줄 아는 조직이 승리한다 LeeKyoo 2022.11.02 2386
2223 뇌는 리얼한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 셀라비 2014.04.18 2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