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1
어제:
788
전체:
776,115

黔驢之技

2012.12.01 13:54

홍석균 조회 수:2430

黔(검을 검)驢(나귀 려)之(갈 지)技(재주 기)
당나귀의 뒷발질로 보잘것 없는 기량을 비웃는 말이다.
지금의 귀주성을 옛날에는 검이라고 했는데, 이 검 지방에는 원래 당나귀라는 짐승이 없었다.
이 지방 사람 하나가 멀리 여행을 떠났다가 고향으로 돌아오는 길에 당나귀 한 마리를 사서 배에 싣고 왔다.
그러니 당나귀를 처음 보는 사람들이 신기해서 눈이 휘둥그래질 수밖에 없었다.
당나귀 주인은 호기심에다 우쭐하게 튀고 싶은 마음으로 그 짐승을 가져오긴 했으나, 어떻게 기르고 무엇에
쓸지 몰라 난감했다.
그래서, 일단 마을 근처 야산에다 풀어 놓아 기르기로 했다.
그런데, 그 산에는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다.
"이크, 저게 뭐지?"
호랑이는 지금까지 당나귀를 본 적이 없었으므로 강적인가 하여 감히 접근하지 못하고 숨어서 한동안 동태를
엿보기로 했다.
그 때, 당나귀가 "히힝" 하고 울었다.
난생 처음 들어본 소리라 순간적으로 호랑이는 그 짐승이 자기를 잡아먹으려는 줄 알고 혼비백산하여 줄행랑을 놓았다.
"휴, 혼났네.
그렇지만 내 체면에 이게 뭐야.
내가 명색이 이 산의 왕으로 군림해 왔는데, 뭔지도 모르는 이상한 녀석한테 미리 겁먹고 떨다니"
이렇게 생각한 호랑이는 되돌아가서 다시 당나귀의 동태를 엿보기로 했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그 귀 큰 짐승이 별볼일 없는 존재인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일단 시험해 보기로 하고, 숨어 있던 곳에서 나와 당나귀 주위를 빙빙 돌면서 덤벼들 듯이 위협하는 시늉을
하였다.
그 당나귀 역시 호랑이란 짐승을 보았을 리가 없었다.
"넌, 뭐냐"
당나귀는 겁도 없이 유일한 무력 수단인 뒷발질로 호랑이를 걷어 차려고 했다.
그러나 이 단 한번의 행동으로 자기 기량을 폭로해버린 셈이다.
"흥, 겨우 이 정도였군."
그제야 마음을 놓은 호랑이는 달려들어 순식간에 당나귀를 잡아 먹어 버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7350
625 변명거리가 많을수록 결과는 나빠진다. 셀라비 2014.09.18 2621
624 안정성은 곧 경고 사인이다. 셀라비 2014.09.17 3280
623 회사를 만든다는 것은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2] 셀라비 2014.09.16 3030
622 사람들은 그들이 기대 받는 만큼 한다. [2] 셀라비 2014.09.15 2711
621 사람들은 목적을 갈망한다. 셀라비 2014.09.12 2739
620 꿈의 힘으로 안전지대를 탈출하라. 셀라비 2014.09.11 2427
619 모든 일은 마음이 근본이다. 셀라비 2014.09.05 3246
618 현명한 이기주의가가 되는 법 셀라비 2014.09.04 2577
617 미래의 행복과 불행은? 셀라비 2014.09.03 2962
616 두려워하지 마시고 원대한 꿈을 꾸시기를! 셀라비 2014.09.02 2897
615 성을 쌓는 자는 망한다. 셀라비 2014.09.01 2675
614 참된 권력은 섬김입니다. 셀라비 2014.08.29 2740
613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일한 공통점 셀라비 2014.08.28 3036
612 과감하고 빠른 실패가 성공의 첩경 셀라비 2014.08.27 2426
611 의도적으로라도 의견 불일치를 만들자. 셀라비 2014.08.26 2929
610 뒤집어라. 언제나 뒤집어라. 셀라비 2014.08.25 2762
609 인생의 성공을 측정하는 법 셀라비 2014.08.22 2545
608 명성보다는 인격에 관심을 둬라. 셀라비 2014.08.21 2508
607 젊은이여, 대책 없는 이상주의자가 되라. 셀라비 2014.08.20 2511
606 불황은 체질 강화를 위한 좋은 기회가 된다. 셀라비 2014.08.19 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