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12
어제:
776
전체:
770,948

燕雀鴻鵠

2012.12.01 19:55

이규 조회 수:1415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혹

 

燕雀鴻鵠-군자와 소인배는 차원이 다름


흔히 ‘次元이 다르다’는 말을 한다.  莊子에 보면 ‘하루살이 버섯은 그늘을 모르고, 매미는 가을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次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새 중에서도 次元이 다른 것이 있다.  기러기나 고니는 그 큰 몸집에다 높은 蒼空을 훨훨 날아 다닌다.  그래서 이 두 새는 예부터 ‘君子’의 象徵이었다.  반면 제비나 참새는 기껏해야 땅위를 스치듯 날며 모기 따위의 보잘 것 없는 벌레나 잡아 먹고 산다.  따라서 九萬里 蒼空을 나는 기러기나 고니의 氣像을 알기나 하랴.
  陳勝(字는 涉)은 秦나라 末期 한 부잣집의 일개 머슴이었다.  하루는 밭을 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歎息이 나왔다.  “將次 큰 인물이 되면 결코 오늘을 잊지 않으리라!”  그러자 周圍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고 나섰다.  “뭣이라고?  머슴인 주제에 큰 인물이 되겠다고?”  陳勝은 안타까운 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雄大한 抱負를 알랴!”
  後에 陳勝은 吳廣과 함께 反旗를 들면서 有名한 말을 남겼다.  “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을소냐?”  이 때부터 燕雀은 ‘小人輩’, 鴻鵠은 ‘君子’를 뜻하게 되었다.
  一部에서 鴻鵠(홍혹)을 ‘홍곡’으로 발음하는데 鵠이 ‘과녁’을 뜻하는 경우(正鵠, 鵠的 등)가 아니면 ‘혹’으로 發音하는 것이 옳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453
383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648
38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659
381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77
380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25
379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65
378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483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07
376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864
375 討 伐 이규 2013.03.17 1599
374 跛行 이규 2013.03.18 1601
373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43
372 杜鵑 이규 2013.03.20 2159
371 似而非 이규 2013.03.21 1583
370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813
369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16
368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55
36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76
366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80
365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