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5
어제:
778
전체:
776,897

燕雀鴻鵠

2012.12.01 19:55

이규 조회 수:1451

燕 제비 연
雀 참새 작
鴻 기러기 홍
鵠 고니 혹

 

燕雀鴻鵠-군자와 소인배는 차원이 다름


흔히 ‘次元이 다르다’는 말을 한다.  莊子에 보면 ‘하루살이 버섯은 그늘을 모르고, 매미는 가을을 알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次元이 다르기 때문이다.  새 중에서도 次元이 다른 것이 있다.  기러기나 고니는 그 큰 몸집에다 높은 蒼空을 훨훨 날아 다닌다.  그래서 이 두 새는 예부터 ‘君子’의 象徵이었다.  반면 제비나 참새는 기껏해야 땅위를 스치듯 날며 모기 따위의 보잘 것 없는 벌레나 잡아 먹고 산다.  따라서 九萬里 蒼空을 나는 기러기나 고니의 氣像을 알기나 하랴.
  陳勝(字는 涉)은 秦나라 末期 한 부잣집의 일개 머슴이었다.  하루는 밭을 갈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歎息이 나왔다.  “將次 큰 인물이 되면 결코 오늘을 잊지 않으리라!”  그러자 周圍의 머슴들이 일제히 비웃고 나섰다.  “뭣이라고?  머슴인 주제에 큰 인물이 되겠다고?”  陳勝은 안타까운 듯이 말했다.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雄大한 抱負를 알랴!”
  後에 陳勝은 吳廣과 함께 反旗를 들면서 有名한 말을 남겼다.  “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을소냐?”  이 때부터 燕雀은 ‘小人輩’, 鴻鵠은 ‘君子’를 뜻하게 되었다.
  一部에서 鴻鵠(홍혹)을 ‘홍곡’으로 발음하는데 鵠이 ‘과녁’을 뜻하는 경우(正鵠, 鵠的 등)가 아니면 ‘혹’으로 發音하는 것이 옳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家 庭 이규 2013.07.25 2116
343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2115
342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114
341 選 良 이규 2013.08.07 2113
340 中 國 이규 2013.09.03 2109
339 席 捲 이규 2013.05.31 2108
338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2106
337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106
336 知 音 셀라비 2014.03.24 2104
335 審判 이규 2012.10.30 2100
334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2096
333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2096
332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2092
331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2090
330 妄 言 이규 2013.09.20 2089
329 瓦 解 이규 2013.08.18 2082
328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2079
327 國會 이규 2012.11.07 2079
326 回 甲 셀라비 2014.06.19 2078
325 輓 歌 셀라비 2014.07.15 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