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99
어제:
776
전체:
770,935

한자 花 信

2013.08.02 22:33

셀라비 조회 수:2032


花꽃화
信믿을신


 봄의 전령, 꽃 소식

 


  花는 草와 化의 結合이므로 「초목(草木)이 변화한 것」이다.  곧 옛 사람들은 꽃이 풀이나 나무가 자란 結果라고 보았다. 따라서 花는 ‘꽃’을 뜻한다. 화분(花盆)․화초(花草)․화훼(花卉)․개화(開花)․무궁화(無窮花)가 있다.
  信은 人과 言의 結合이다. 「사람(人)의 말(言)에는 信義가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信의 본디 뜻은「신의」「믿음」이다.  물론 그 정도는 이제 상식(常識)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사람의 말을 전할 수 있는 것은 글이 아닌가. 그 중에 서도 便紙는 代表的인 경우며, 그것은 또 「소식」을 전하는 것이므로信은 「편지」나 「소식」도 뜻하게 되었다.
  서신(書信)이니 발신(發信)․수신(受信)․통신(通信)이 그런 경우다. 따라서 花信이라면 「꽃소식」이 된다. 봄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많다. 졸졸 흐르는시냇물 소리도 되겠고 女人의 화사(華奢)한 치맛자락도 되겠다.  그러나 봄을 實感할 수 있는 것으로는 역시 꽃이 아닐까. 「삼천리(三千里)금수강산(錦繡江山)」이라고 했던가.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는 꽃도 많다. 개나리․진달래가 흐드러지게 피면 온통 천자만홍(千紫萬紅)의 장관(壯觀)을 演出한다. 그뿐인가. 華奢한 벚꽃과 정염(情艶)을 象徵하는 복숭아꽃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 이 모두가 봄의 花信으로 족하다.  봄이 왔기에 到處에서 花信을 느낄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17
323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19
322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23
321 膺懲 이규 2013.02.18 1724
320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27
319 復舊 이규 2012.11.05 1729
318 不惑 이규 2012.12.17 1729
317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30
316 獅子喉 이규 2013.02.12 1731
315 破廉恥 이규 2012.11.24 1735
314 師表 이규 2013.02.04 1735
313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35
312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37
311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41
310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4
309 文化 이규 2012.12.03 1745
308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45
307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46
306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52
305 凱 旋 yikyoo 2014.06.11 1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