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2
어제:
776
전체:
770,938

한자 獨 對

2013.12.08 19:46

이규 조회 수:1948

獨 對

홀로

대답할

 

 

왕과 신하가 단둘이 만나던데서

유래

 

 

이 들어있는 漢字는 모두 짐승이나 짐승의 性質關係가 있다. (여우 호)(개 구)(미칠 광)(사나울 맹).()(해바라기 벌레)과 같은 개()또는 동물이라는 뜻이다.一種의 들개로 먹이를독차지한다.그래서 은 짐승 이름이자 홀로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는 나무조각(에서 이 생략됨)을 쥐고 있는 손()臣下가 임금을 알현(謁見)하기 위해 홀()을 쥐고 있는 모습이다.그래서 대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본디 독대(獨對)라면 臣下단둘이 만나는 것을 말했다.물론 그리떳떳한 것은 아니었다.그래서 朝鮮時代에는 國法으로 하기도 했다.은밀히 만난다는 것 자체가 뭔가 구린 데가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國家重要 大事라면 獨對를 못할 것도 없다.

효종(孝宗)이 북벌(北伐)하기 위해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獨對한 것은 有名하다.사관(史官)과 승지(承旨)까지도 내보낸 채 이뤄진 獨對制度的으로 禁止되어 있었던 것으로 매우 異例的인 것이었다.요즘 大統領野黨總務獨對했다하여 말이 많다.國政에 관해서 무슨 緊要한 이야기가 오갔는지 모르겠지만 異例的인 것만은 틀림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116
383 苦 杯 이규 2013.08.03 2116
382 快 擧 이규 2013.07.21 2115
381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109
380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107
379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106
378 發祥地 이규 2013.10.20 2105
377 執牛耳 이규 2013.11.15 2095
376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95
375 賞 春 이규 2013.08.15 2089
374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87
373 誣 告 이규 2013.07.24 2081
372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75
371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73
370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071
369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070
368 至孝 이규 2012.10.29 2070
367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067
366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63
36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