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0
어제:
815
전체:
773,751

한자 苦 杯

2013.08.03 21:28

이규 조회 수:2210


苦쓸고
杯잔배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비유

 


 苦는 초(草)가 있으므로 「풀」의 一種임을 알 수 있다.  우리말로는 「씀바귀」라고 한다. 전국 어느 들에서나 볼 수 있는데 냉이와 함께 이른 봄 캐어 먹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맛이 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그 쓴맛 때문에 씀바귀는 漢方에서 藥用으로 使用된다. 대체로 해열(解熱)과 소종(消腫,종기를 없앰)․생기(生肌,새 살을 돋게 함)에 좋다고 한다. 따라서 苦는 「씀바귀」에서 「쓴맛」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쓴맛을 좋아할 사람은 별로 없다. 또 먹기가 워낙 힘들고 괴로웠으므로 「괴롭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고뇌(苦惱)니 고락(苦樂)․고역(苦役)․고육책(苦肉策)․고통(苦痛)은그런 뜻을 담고 있다. 또 쓴맛의 反對가 단맛이므로 감언(甘言)의 反對는 고언(苦言)인 셈이다.
 杯는 목(木)과 불(不)의 結合이나 본디는 비(否)의 結合으로 木은 材料, 否는 소리값이다. 곧 나무로 만든「술잔」 이 되겠다. 參考로 「술잔」을 뜻하는 漢字는 많다.  盃는 杯의 속자(俗字)며, 잔(盞)은 낮고 작은 잔,상(觴)은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작(爵)은 쇠로 만든 발 달린 술잔인데 보통 한되들이 정도의 큰 잔이다.
  苦杯라면 「쓴 잔」으로 쓴 약이나 독한 술이 들어있는 잔이다.  그런 만큼마시기가 여간 고통스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苦杯는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뜻하게 되었다.  물론 그 反對는 축배(祝杯)가 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844
123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736
122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78
121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75
120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707
119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607
118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607
117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79
116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36
115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847
114 似而非 이규 2013.03.21 1612
113 杜鵑 이규 2013.03.20 2187
11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69
111 跛行 이규 2013.03.18 1632
110 討 伐 이규 2013.03.17 1627
109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897
10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33
107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513
106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91
105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