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92
어제:
788
전체:
775,976

不惑

2012.12.17 21:33

이규 조회 수:1767

不아닐 불
惑유혹할 혹

 

不惑-유혹에 흔들리지 않을 마흔살의 나이

 

惑은 心과 或의 結合이며 或(혹)은 창을 가지고 사람(口)과 땅(一-지평선)을 지킨다는 뜻이다.  곧 一定한 地域에 사람이 살고 있고 땅을 耕作하는데 盜賊이나 猛獸로 부터 이를 保護하기 위해 武器를 가지고 防禦하는 組織이 或이다.
  그런데 아주 옛날, 사람은 적고 땅은 넓었으므로 土地 所有 觀念이 稀薄했다.  그래서 한 곳에 定着하기 보다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며 살았다.  여기에서 或은 移動, 變化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後에 오면 所有觀念이 생기게 되어 自己 所有의 田畓을 表示하게 된다.  田畓은 땅을 뜻하므로 或에 土를 덧붙여 域자가 나오게 되었으며 四方 一定한 경계(口)를 표시한 것이 國이다.
  惑은 마음(心)이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或)는 뜻이다.  뚜렷한 主見없이 쉽게 마음이 홀리는 것을 뜻한다.  魅惑(매혹), 誘惑(유혹), 疑惑(의혹), 眩惑(현혹), 惑世誣民(혹세무민)이 있다.  따라서 不惑은 ‘홀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論語]에 보면 孔子가 自身의 人生에 대해 述懷(술회)한 대목이 보인다.  곧 나이 열다섯이 되어 學文에 뜻을 두고, 서른에 제대로 서게 되었으며, 마흔에 眩惑되지 않았고(不惑), 쉰에 天命을 알았고, 예순에 귀가 트여 남의 말을 분별할 수 있었고, 일흔에 마음대로 行動해도 法度를 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不惑은 나이 ‘마흔살’을 뜻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選 良 이규 2013.08.07 2104
143 中 國 이규 2013.09.03 2105
142 家 庭 이규 2013.07.25 2108
141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2108
140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111
139 櫛 比 이규 2013.08.08 2113
138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116
137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119
136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2120
135 至孝 이규 2012.10.29 2121
134 花 信 셀라비 2013.08.02 2129
133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2129
132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131
131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2132
130 春困症 이규 2013.07.27 2133
129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2133
128 幣 帛 이규 2013.10.13 2136
127 黃 砂 이규 2013.07.18 2141
126 淸 貧 yikyoo 2014.06.15 2145
125 雲 集 이규 2013.08.09 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