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7
어제:
778
전체:
776,929

不惑

2012.12.17 21:33

이규 조회 수:1795

不아닐 불
惑유혹할 혹

 

不惑-유혹에 흔들리지 않을 마흔살의 나이

 

惑은 心과 或의 結合이며 或(혹)은 창을 가지고 사람(口)과 땅(一-지평선)을 지킨다는 뜻이다.  곧 一定한 地域에 사람이 살고 있고 땅을 耕作하는데 盜賊이나 猛獸로 부터 이를 保護하기 위해 武器를 가지고 防禦하는 組織이 或이다.
  그런데 아주 옛날, 사람은 적고 땅은 넓었으므로 土地 所有 觀念이 稀薄했다.  그래서 한 곳에 定着하기 보다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며 살았다.  여기에서 或은 移動, 變化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後에 오면 所有觀念이 생기게 되어 自己 所有의 田畓을 表示하게 된다.  田畓은 땅을 뜻하므로 或에 土를 덧붙여 域자가 나오게 되었으며 四方 一定한 경계(口)를 표시한 것이 國이다.
  惑은 마음(心)이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或)는 뜻이다.  뚜렷한 主見없이 쉽게 마음이 홀리는 것을 뜻한다.  魅惑(매혹), 誘惑(유혹), 疑惑(의혹), 眩惑(현혹), 惑世誣民(혹세무민)이 있다.  따라서 不惑은 ‘홀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論語]에 보면 孔子가 自身의 人生에 대해 述懷(술회)한 대목이 보인다.  곧 나이 열다섯이 되어 學文에 뜻을 두고, 서른에 제대로 서게 되었으며, 마흔에 眩惑되지 않았고(不惑), 쉰에 天命을 알았고, 예순에 귀가 트여 남의 말을 분별할 수 있었고, 일흔에 마음대로 行動해도 法度를 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不惑은 나이 ‘마흔살’을 뜻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傾 聽 이규 2013.07.03 1704
123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703
122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702
121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702
120 刑罰 이규 2013.02.01 1701
119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697
118 瓦斯 이규 2013.02.12 1697
117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696
116 所聞 이규 2013.02.01 1695
115 人質 이규 2012.12.27 1691
114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690
113 前 轍 이규 2013.06.24 1690
112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689
111 關 鍵 이규 2013.05.14 1688
110 名分 이규 2013.02.11 1684
109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682
108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81
107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678
106 戰 國 이규 2013.06.09 1677
105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