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5
어제:
778
전체:
776,937

籌備

2012.12.28 19:56

이규 조회 수:1717


籌 산가지 주
備 갖출 비


籌備-요모조모 꾀하여 갖추다


籌는 ‘수명{壽}을 判別하는 대나무{竹}’로 옛날 占과 關係가 있다.  初期에는 거북 껍질을 불에 달군 송곳으로 뚫어 나타나는 금으로 吉凶을 점쳤는데 이것이 占 또는 占卜을 意味한다.  그러나 後에 오면 풀이나 대나무를 使用했는데 각기 시초(蓍草)와 籌라고 했다.  그러니까 籌는 占을 쳤던 길게 자란 대나무란 뜻이 된다.  後에 셈하는 데에도 使用돼 ‘산 가지’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점쟁이들이 算筒에 산가지를 넣어 占을 치곤 했다.
  占을 보든, 셈을 하든 ‘헤아리는 것’은 같다.  그래서 籌는 ‘헤아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주책(籌策-생각해 본 끝에 나온 꾀나 策略), 籌板(珠板이라고도 함)이 있다.
  備는 사람이 무기고(庫)를 지키고 있는 모습으로 侵掠이나 掠奪에 對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따라서 ‘準備’, ‘對備’, ‘갖추다’는 뜻을 갖게 됐다.  備忘錄, 備品, 警備, 防備가 있다.
  곧 籌備라면 ‘요모조모 꾀하여 갖춘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深思熟考가 介入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어떤 일을 꾀함에 있어 깊은 計劃과 論議를 하면서 準備가 함께 이루어 지고 있음을 意味한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것을 ‘미리 마련해 갖추어 놓는다’는 뜻의 準備와는 엄연히 區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道 路 이규 2013.08.17 2175
363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172
362 雲 集 이규 2013.08.09 2171
361 標 榜 이규 2013.08.10 2170
360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169
359 淸 貧 yikyoo 2014.06.15 2162
358 黃 砂 이규 2013.07.18 2160
357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2158
356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2157
355 幣 帛 이규 2013.10.13 2157
354 花 信 셀라비 2013.08.02 2151
353 春困症 이규 2013.07.27 2151
352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146
351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2142
350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138
349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2138
348 沐浴 [1] 이규 2013.04.08 2138
347 櫛 比 이규 2013.08.08 2134
346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130
345 至孝 이규 2012.10.29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