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1
어제:
778
전체:
776,893

籌備

2012.12.28 19:56

이규 조회 수:1705


籌 산가지 주
備 갖출 비


籌備-요모조모 꾀하여 갖추다


籌는 ‘수명{壽}을 判別하는 대나무{竹}’로 옛날 占과 關係가 있다.  初期에는 거북 껍질을 불에 달군 송곳으로 뚫어 나타나는 금으로 吉凶을 점쳤는데 이것이 占 또는 占卜을 意味한다.  그러나 後에 오면 풀이나 대나무를 使用했는데 각기 시초(蓍草)와 籌라고 했다.  그러니까 籌는 占을 쳤던 길게 자란 대나무란 뜻이 된다.  後에 셈하는 데에도 使用돼 ‘산 가지’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점쟁이들이 算筒에 산가지를 넣어 占을 치곤 했다.
  占을 보든, 셈을 하든 ‘헤아리는 것’은 같다.  그래서 籌는 ‘헤아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주책(籌策-생각해 본 끝에 나온 꾀나 策略), 籌板(珠板이라고도 함)이 있다.
  備는 사람이 무기고(庫)를 지키고 있는 모습으로 侵掠이나 掠奪에 對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따라서 ‘準備’, ‘對備’, ‘갖추다’는 뜻을 갖게 됐다.  備忘錄, 備品, 警備, 防備가 있다.
  곧 籌備라면 ‘요모조모 꾀하여 갖춘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深思熟考가 介入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어떤 일을 꾀함에 있어 깊은 計劃과 論議를 하면서 準備가 함께 이루어 지고 있음을 意味한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것을 ‘미리 마련해 갖추어 놓는다’는 뜻의 準備와는 엄연히 區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997
363 鷄 肋 이규 2014.05.15 1931
362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2020
361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929
360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690
359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207
358 猶 豫 셀라비 2014.04.23 1884
357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932
356 明 堂 셀라비 2014.04.15 1934
355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915
354 旱 魃 셀라비 2014.04.04 1954
353 觀 察 셀라비 2014.03.28 1822
352 知 音 셀라비 2014.03.24 2104
351 官 吏 셀라비 2014.03.23 1818
350 秀 才 셀라비 2014.03.19 2006
349 社 會 셀라비 2014.03.18 1981
348 鼻 祖 셀라비 2014.03.17 1874
347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885
346 狡 猾 셀라비 2014.03.13 1938
345 完璧 셀라비 2014.03.12 2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