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07
어제:
795
전체:
775,203

葡萄

2013.01.09 20:02

이규 조회 수:1264

 



葡萄- 서역서 전래된 과일


葡는 ‘기는 풀’이라는 뜻이며, 萄는 옹기장이가 옹기(缶-장군 부)를 만들 때 감싸듯이(包-쌀 포) ‘감싸는 풀’이다.  곧 葡萄는 땅을 기듯 덩굴을 뻗어 덩굴손이 자꾸만 다른 物體를 감으면서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마천(司馬遷)의 [史記]에 의하면 葡萄는 기원전 120년께 한무제(漢武帝) 때 西域(지금의 중앙 아시아 일대)을 개척했던 장건(張騫) 一行이 그곳에서 가져와 심었다고 한다.  산머루를 改良한 것이다.
  唐은 崔全盛期를 이루었던 時期로 國力이 四方으로 뻗쳤다.  이때 多量의 文物이 西域에서 傳來되었는데 그 중에는 葡萄 무늬도 있었다.  玄宗이 楊貴妃를 위해 비단에 葡萄 무늬를 수 놓을 西域人을 徵用해 왔음은 유명한 逸話이다.
  그래서인지 唐과 가까왔던 新羅도 와당(瓦當)이나 전(塼)에서 葡萄 무늬를 많이 사용햇는데 그것은 알알이 여무는 葡萄가 多孫, 多福의 象徵이었기 때문이었다.
  요즘 그 葡萄가 한창이다.  탐스럽게 여문 葡萄를 먹으면서 문득 생각 나는 詩가 있다. 내 고장 七月은 靑葡萄가 익어가는 시절.  이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  이 가을에 葡萄가 낭만을 더해 주는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456
483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111
482 至孝 이규 2012.10.29 2116
481 審判 이규 2012.10.30 2093
480 景福 셀라비 2012.10.31 1643
479 省墓 이규 2012.11.01 1629
478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445
477 光化門 이규 2012.11.03 1852
47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649
475 復舊 이규 2012.11.05 1782
474 城郭 이규 2012.11.06 1713
473 國會 이규 2012.11.07 2070
472 閏月 이규 2012.11.08 3070
471 割據 셀라비 2012.11.09 1606
470 寒心 이규 2012.11.10 2015
469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860
468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690
467 世代 이규 2012.11.13 1749
466 慢慢的 이규 2012.11.15 1699
465 聖域 이규 2012.11.16 1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