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58
어제:
788
전체:
776,042

葡萄

2013.01.09 20:02

이규 조회 수:1269

 



葡萄- 서역서 전래된 과일


葡는 ‘기는 풀’이라는 뜻이며, 萄는 옹기장이가 옹기(缶-장군 부)를 만들 때 감싸듯이(包-쌀 포) ‘감싸는 풀’이다.  곧 葡萄는 땅을 기듯 덩굴을 뻗어 덩굴손이 자꾸만 다른 物體를 감으면서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마천(司馬遷)의 [史記]에 의하면 葡萄는 기원전 120년께 한무제(漢武帝) 때 西域(지금의 중앙 아시아 일대)을 개척했던 장건(張騫) 一行이 그곳에서 가져와 심었다고 한다.  산머루를 改良한 것이다.
  唐은 崔全盛期를 이루었던 時期로 國力이 四方으로 뻗쳤다.  이때 多量의 文物이 西域에서 傳來되었는데 그 중에는 葡萄 무늬도 있었다.  玄宗이 楊貴妃를 위해 비단에 葡萄 무늬를 수 놓을 西域人을 徵用해 왔음은 유명한 逸話이다.
  그래서인지 唐과 가까왔던 新羅도 와당(瓦當)이나 전(塼)에서 葡萄 무늬를 많이 사용햇는데 그것은 알알이 여무는 葡萄가 多孫, 多福의 象徵이었기 때문이었다.
  요즘 그 葡萄가 한창이다.  탐스럽게 여문 葡萄를 먹으면서 문득 생각 나는 詩가 있다. 내 고장 七月은 靑葡萄가 익어가는 시절.  이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  이 가을에 葡萄가 낭만을 더해 주는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省墓 이규 2012.11.01 1632
83 討 伐 이규 2013.03.17 1631
82 似而非 이규 2013.03.21 1620
81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619
80 兩立 이규 2012.12.13 1619
79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615
78 日暮途遠 셀라비 2014.10.11 1612
77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610
76 割據 셀라비 2012.11.09 1610
75 封套 이규 2012.11.19 1608
74 妥結 이규 2012.12.02 1607
73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606
72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603
71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601
70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99
69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99
68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97
67 國 家 이규 2013.06.10 1593
66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90
65 武陵桃源 셀라비 2014.09.25 1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