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0
어제:
778
전체:
776,922

崩壞

2013.01.13 16:04

이규 조회 수:1263

崩 산무너질 붕
壞 흙무너질 괴

崩壞-산과 흙이 무너짐


崩은 山과 벗 붕(朋)의 結合이다.  典型的인 형성자(形聲字)로 山이 ‘붕!’하고 무너지는 소리를 본 떠 만든 글자이다.  山이 무너지면 굉음(轟音)과 함께 그곳의 돌이나 나무, 풀도 함께 매몰(埋沒)된다.  그래서 崩은 天子의 죽음을 象徵하기도 한다.  여기서 나온 말에 붕어(崩御)가 있다.  諸葛亮이 蜀의 後主 劉禪(劉備의 아들)에게 올린 出師表를 보면 그 첫머리에 劉備의 죽음에 대해 언급한 대목이 나온다.
   “先帝께서 創業하신 뒤 半도 이루지 못하고 붕조(崩俎)하시고 …”
  壞는 土와 회(  )의 결합이고   에는 ‘옷’을 뜻하는 衣가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물건을 몰래 훔쳐 옷속에 감춰두고 있는 形狀이다.  그래서 ‘품다’, ‘간직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는 것이 懷(생각할 회, 품을 회)다.  그런데 물건을 잃은 쪽에서는 허전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서 懷는 ‘망치다’, ‘텅비다’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흙이나 땅이 텅비어 있는 것이 壞다.  그 땅은 무너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壞 역시 ‘무너지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壞死, 破壞등의 말이 있다.   따라서 崩壞의 본디 뜻은 ‘산이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이다.  옛날의 경우 그것은 대체로 洪水나 地震 등과 같은 天災地變 때문에 일어났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지금의 崩壞는 人災로 나타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314
403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311
402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307
401 紛 糾 이규 2013.09.25 2307
400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303
399 快 擧 이규 2013.07.21 2297
398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291
397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290
396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2286
395 千字文 이규 2013.10.12 2286
394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282
393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279
392 問 鼎 이규 2013.11.23 2279
391 人 倫 이규 2013.07.29 2277
390 持 滿 이규 2013.11.28 2274
389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266
388 改 閣 이규 2013.08.26 2261
387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260
386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248
385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