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78
어제:
795
전체:
775,174

獨眼龍

2013.01.17 14:00

홍석균 조회 수:3877

獨(홀로 독)眼(눈 안)龍(용 용)
애꾸눈 용이란 뜻으로, 눈이 하나뿐인 장애를 딛고 용맹을 떨쳤거나 공을 세운 사람을 일컫는다.

당나라 희종 때 천재지변으로 농사가 황폐해지자, 산동 출신의 야심가 황소가 굶주린 백성들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황소는 곳곳에서 관군을 깨뜨리고 세력을 점차 불려 나가, 5년 뒤에는 마침내 도성인 장안에 입성하여 스스로 제제라
일컫고 국호를 대제국이라고 바꾸었다.
난을 피해 성도로 몽진한 희종은 맹장 이극용에게 황소의 난을 진압하라고 명했다.
이극용은 돌궐족 출신에다 애꾸눈이라는 약점을 딛고 출중한 능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장수라는 칭송을 듣는 
인물이었다.
황명에 감읍한 그는 휘하의 4만 병력을 이끌고 출진했는데, 이 때 그의 부하들은 모두 검은 옷을 입고 무서운 기세로 적에게
달려들었기 때문에 반란군은 갈가마귀 군사가 왔다고 벌벌 떨었으며, 사람들은 그를 이아아 또는 독안룡이라고 불렀다.
불우한 황제 희종은 좋은 세상을 끝내 못 본 채 888년 봄에 죽었고, 뒤를 이어 소종이 등극했다.
그리고 그 이듬해에야 황소의 난은 완전히 진압되어 세상에는 평화가 돌아왔다.
이극용은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농서군왕에 책봉되었다.
이 때가 그의 인생 절정기였으나, 같은 무렵에 동평군왕에 책봉된 주전충과 권력을 다투면서 급작스럽게 불운에 접어들게
되었다.
주전충은 원래 황소에게 붙었다가 태도를 바꾸어 관군을 이끌고 반란군 진압에 뛰어들어 공을 세운 인물이었다.
주전충과의 경쟁에서 밀려난 이극용은 실의에 찬 나날을 보내다가 죽었고, 라이벌 제거에 성공한 주전충은 승승장구하여
실권을 장악한 뒤 급기야 애종을 폐하고 스스로 보위에 올라 후량을 세워 당나라의 명맥을 끊어 버렸다.
그러나, 그로부터 16년 후 이극용의 아들 이존욱이 후량을 멸망시키고 후당을 세워 초대 황제인 장종이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6621
2563 비울 때 비로소 채울 수 있다 LeeKyoo 2023.08.10 1637
2562 스스로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행하라 LeeKyoo 2023.05.30 1638
2561 남과 비교하지 말고 어제의 나와 비교하라 LeeKyoo 2023.05.15 1640
2560 내가 불구라는 것에 화를 내는 것은 시간낭비다 LeeKyoo 2023.06.26 1641
2559 성과를 바란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LeeKyoo 2023.06.14 1646
2558 반대에 부딪힐 때, 성장할 기회가 찾아온다 LeeKyoo 2023.04.05 1647
2557 진정한 희망이란 나를 신뢰하는 것 LeeKyoo 2023.06.27 1647
2556 현명한 선택을 위한 몇 가지 기준 LeeKyoo 2023.04.18 1651
2555 가장 먼 미래를 보는 새가 모든 것을 가져간다 LeeKyoo 2023.06.28 1651
2554 의미와 목적이 미래의 경쟁력이다 LeeKyoo 2023.04.03 1663
2553 소수의 일에 집중하라 LeeKyoo 2023.02.28 1664
2552 변화(Change)는 기회(Chance)다 LeeKyoo 2023.02.22 1668
2551 자신감이 낮은 사람이 진정한 대가가 된다 LeeKyoo 2023.09.18 1668
2550 리더의 성과를 측정하는 법 LeeKyoo 2023.04.27 1671
2549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LeeKyoo 2022.12.20 1673
2548 열악한 환경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 LeeKyoo 2023.05.04 1674
2547 희망이 세상을 움직인다 LeeKyoo 2023.04.06 1675
2546 인간관계 LeeKyoo 2024.02.19 1676
2545 누구나 갈 수 있는 성공의 길 LeeKyoo 2023.03.02 1679
2544 목표와 방향의 힘은 얕볼 수 없다 LeeKyoo 2023.05.08 1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