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43
어제:
778
전체:
776,805

獨眼龍

2013.01.17 14:00

홍석균 조회 수:3917

獨(홀로 독)眼(눈 안)龍(용 용)
애꾸눈 용이란 뜻으로, 눈이 하나뿐인 장애를 딛고 용맹을 떨쳤거나 공을 세운 사람을 일컫는다.

당나라 희종 때 천재지변으로 농사가 황폐해지자, 산동 출신의 야심가 황소가 굶주린 백성들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황소는 곳곳에서 관군을 깨뜨리고 세력을 점차 불려 나가, 5년 뒤에는 마침내 도성인 장안에 입성하여 스스로 제제라
일컫고 국호를 대제국이라고 바꾸었다.
난을 피해 성도로 몽진한 희종은 맹장 이극용에게 황소의 난을 진압하라고 명했다.
이극용은 돌궐족 출신에다 애꾸눈이라는 약점을 딛고 출중한 능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장수라는 칭송을 듣는 
인물이었다.
황명에 감읍한 그는 휘하의 4만 병력을 이끌고 출진했는데, 이 때 그의 부하들은 모두 검은 옷을 입고 무서운 기세로 적에게
달려들었기 때문에 반란군은 갈가마귀 군사가 왔다고 벌벌 떨었으며, 사람들은 그를 이아아 또는 독안룡이라고 불렀다.
불우한 황제 희종은 좋은 세상을 끝내 못 본 채 888년 봄에 죽었고, 뒤를 이어 소종이 등극했다.
그리고 그 이듬해에야 황소의 난은 완전히 진압되어 세상에는 평화가 돌아왔다.
이극용은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농서군왕에 책봉되었다.
이 때가 그의 인생 절정기였으나, 같은 무렵에 동평군왕에 책봉된 주전충과 권력을 다투면서 급작스럽게 불운에 접어들게
되었다.
주전충은 원래 황소에게 붙었다가 태도를 바꾸어 관군을 이끌고 반란군 진압에 뛰어들어 공을 세운 인물이었다.
주전충과의 경쟁에서 밀려난 이극용은 실의에 찬 나날을 보내다가 죽었고, 라이벌 제거에 성공한 주전충은 승승장구하여
실권을 장악한 뒤 급기야 애종을 폐하고 스스로 보위에 올라 후량을 세워 당나라의 명맥을 끊어 버렸다.
그러나, 그로부터 16년 후 이극용의 아들 이존욱이 후량을 멸망시키고 후당을 세워 초대 황제인 장종이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7525
2486 소명을 찾으면 매일의 삶은 축제가 된다 LeeKyoo 2023.03.08 1724
2485 워렌 버핏의 투자론 LeeKyoo 2023.03.07 1614
2484 외부 환경은 마음에 따라 변한다 LeeKyoo 2023.03.06 1736
2483 잘 베푸는 사람이 부자가 된다 LeeKyoo 2023.03.03 1645
2482 누구나 갈 수 있는 성공의 길 LeeKyoo 2023.03.02 1703
2481 소수의 일에 집중하라 LeeKyoo 2023.02.28 1686
2480 자유롭게 말하게 하라 LeeKyoo 2023.02.27 1903
2479 감옥과 수도원의 유일한 차이점 LeeKyoo 2023.02.26 1728
2478 상상력이 세상을 지배한다 LeeKyoo 2023.02.23 1717
2477 변화(Change)는 기회(Chance)다 LeeKyoo 2023.02.22 1687
2476 리더가 되기 전, 리더가 되고난 후 LeeKyoo 2023.02.21 1751
2475 스트레스가 유용하다고 생각하면 LeeKyoo 2023.02.20 1650
2474 감사가 행복을 불러온다 LeeKyoo 2023.02.17 1743
2473 현자(賢者), 부자(富者), 강자(强者) LeeKyoo 2023.02.16 1743
2472 인생의 참 맛은 불확실성과 도전 속에 있다 LeeKyoo 2023.02.15 1627
2471 인재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학교 LeeKyoo 2023.02.14 1630
2470 난독증을 가진 리더들이 성공한 비결 LeeKyoo 2023.02.13 1758
2469 감사하기 시작하자 천국이 펼쳐졌다 LeeKyoo 2023.02.10 1759
2468 모든 비즈니스는 사람 비즈니스이다 LeeKyoo 2023.02.09 1716
2467 봉사와 섬김이 리더의 역할이다 LeeKyoo 2023.02.08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