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4
어제:
800
전체:
774,535

獨眼龍

2013.01.17 14:00

홍석균 조회 수:3874

獨(홀로 독)眼(눈 안)龍(용 용)
애꾸눈 용이란 뜻으로, 눈이 하나뿐인 장애를 딛고 용맹을 떨쳤거나 공을 세운 사람을 일컫는다.

당나라 희종 때 천재지변으로 농사가 황폐해지자, 산동 출신의 야심가 황소가 굶주린 백성들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황소는 곳곳에서 관군을 깨뜨리고 세력을 점차 불려 나가, 5년 뒤에는 마침내 도성인 장안에 입성하여 스스로 제제라
일컫고 국호를 대제국이라고 바꾸었다.
난을 피해 성도로 몽진한 희종은 맹장 이극용에게 황소의 난을 진압하라고 명했다.
이극용은 돌궐족 출신에다 애꾸눈이라는 약점을 딛고 출중한 능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장수라는 칭송을 듣는 
인물이었다.
황명에 감읍한 그는 휘하의 4만 병력을 이끌고 출진했는데, 이 때 그의 부하들은 모두 검은 옷을 입고 무서운 기세로 적에게
달려들었기 때문에 반란군은 갈가마귀 군사가 왔다고 벌벌 떨었으며, 사람들은 그를 이아아 또는 독안룡이라고 불렀다.
불우한 황제 희종은 좋은 세상을 끝내 못 본 채 888년 봄에 죽었고, 뒤를 이어 소종이 등극했다.
그리고 그 이듬해에야 황소의 난은 완전히 진압되어 세상에는 평화가 돌아왔다.
이극용은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농서군왕에 책봉되었다.
이 때가 그의 인생 절정기였으나, 같은 무렵에 동평군왕에 책봉된 주전충과 권력을 다투면서 급작스럽게 불운에 접어들게
되었다.
주전충은 원래 황소에게 붙었다가 태도를 바꾸어 관군을 이끌고 반란군 진압에 뛰어들어 공을 세운 인물이었다.
주전충과의 경쟁에서 밀려난 이극용은 실의에 찬 나날을 보내다가 죽었고, 라이벌 제거에 성공한 주전충은 승승장구하여
실권을 장악한 뒤 급기야 애종을 폐하고 스스로 보위에 올라 후량을 세워 당나라의 명맥을 끊어 버렸다.
그러나, 그로부터 16년 후 이극용의 아들 이존욱이 후량을 멸망시키고 후당을 세워 초대 황제인 장종이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6491
2663 狡兎三窟 홍석균 2012.12.13 3853
2662 성공의 비결은 결코 운이 아니다. 이규 2013.04.10 3852
2661 覆水不返 홍석균 2013.04.07 3852
2660 인간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에너지를 충전하는 것이다 LeeKyoo 2016.09.13 3851
2659 橘化爲枳 홍석균 2012.12.17 3848
2658 그 어떤 어려움도 너를 묶어둘 수는 없다. LeeKyoo 2019.06.26 3846
2657 수)억만장자의 공통점-주는 능력이 탁월하다. 이규 2013.07.24 3846
2656 불가능성의 매력 이규 2013.06.03 3846
2655 가슴속에 당신을 기억시켜라 LeeKyoo 2022.09.26 3845
2654 배우기를 멈추고 호기심을 잃을 때가 곧 죽음이다. 이규 2013.07.22 3844
2653 목표에 다가갈수록 고난은 더욱 커진다. 이규 2013.06.10 3844
2652 목표가 없으면 인간은 살아갈 수 없다 LeeKyoo 2022.10.19 3843
2651 정중한 사람이 빠르게 승진한다 LeeKyoo 2019.07.15 3841
2650 당신의 미래는 지금 당신의 마음속에 있다 LeeKyoo 2019.02.19 3841
2649 포기할 줄 알면 절반은 이룬 것이다. 이규 2013.07.12 3841
2648 장애물이 긍정적인 사람을 만나면 이규 2013.05.22 3840
2647 믿으면 진짜 그렇게 된다 leekyoo 2015.11.30 3839
2646 꾸준한 노력을 실력이라 부른다. 이규 2013.03.25 3839
2645 우리 회사의 1순위는 직원들입니다 LeeKyoo 2021.01.07 3838
2644 당당하게 꿈을 선포하라 LeeKyoo 2019.04.19 3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