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34
어제:
781
전체:
777,577

左遷

2013.01.17 20:45

이규 조회 수:1240

 

左왼 좌
遷옮긴 철

 

左遷- 전보다 못한 자리오 쫓겨 남


左遷의 본디 뜻은 ‘왼쪽으로 옮기는 것’이다.  잘못을 고쳐 착한 사람이 된다는 뜻의 改過遷善이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그런데 지금 左遷은 ‘전보다 못한 자리로 쫓겨나는 것’을 뜻하는 말로 使用되고 있다.
  그렇다면 오른쪽으로 옮기거나 영전(榮轉)된다는 뜻으로 右遷이라는 말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런 말은 없다.  왼손잡이, 女流作家, 處女作이라는 말은 있어도 그 反對 말은 없는 것과 같이, 여기에서 우리 先祖들의 左右 觀念을 엿볼 수 있다.
  사람은 오른손잡이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왼쪽 또는 왼손은 不便, 妨害, 卑賤, 邪惡의 象徵으로 통했다.  左派라면 예부터 나쁜 部類를 指稱할 때 使用하던 말이다.  반면 오른쪽 또는 오른손은 便利, 도움, 尊貴, 正道의 象徵이 되었다.  그래서 옛날 名門巨族을 右姓, 正道를 右道, 學文을 崇尙하고 振興시키는 것을 右文이라고 했다.
  이런 觀念은 實際 行爲나 禮法에도 나타났다.  光化門에는 세 개의 門이 있는데 그중 가운데 門은 王이나 中國 使臣 專用이었으며, 우측문은 兩班이나 官吏, 좌측문은 中人以下가 出入하도록 했다.  鐘路도 兩班은 우측, 賤民은 左側通行을 했다.
  左遷이라는 말은 官吏들이 侍立했던 位置에서 緣由한다.  즉 옛날 朝廷에서 高位 官吏는 오른쪽에 位置한 반면, 下級 官吏들은 왼쪽에 시립하도록 했다.  따라서 左遷이라면 侍立의 位置를 좌측으로 옮긴다는 뜻이며 上下로 따질 때 下降, 降等되는 것이므로 좋은 뜻일리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行 脚 이규 2013.06.19 1739
303 周 年 이규 2013.06.20 1585
302 侍 墓 이규 2013.06.21 1710
301 鳳 凰 이규 2013.06.22 1820
300 陳 情 이규 2013.06.23 1763
299 前 轍 이규 2013.06.24 1692
298 諱之秘之 이규 2013.06.25 1812
297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762
296 釋迦牟尼 이규 2013.06.27 1971
295 讀 書 이규 2013.06.30 1840
294 傾 聽 이규 2013.07.03 1710
293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2109
292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2112
291 文 字 이규 2013.07.06 1578
290 告由文 이규 2013.07.08 1552
289 坐 礁 이규 2013.07.09 1977
288 朝三募四 이규 2013.07.10 2046
287 梅 雨 이규 2013.07.11 1932
286 颱 風 이규 2013.07.12 1671
285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