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2
어제:
781
전체:
777,695

波紋

2013.01.27 17:36

이규 조회 수:1476

 

波물결 파
紋무늬 문


波紋-한가지 일이 다른데 영향을 미침

 

  波는 水와 皮의 結合으로 水面위에 일렁이는 ‘물결’을 뜻한다.  波及, 波濤, 波瀾萬丈, 短波, 餘波, 電波가 있다. 

參考로 돌의 껍질을 벗기는 것이 破(깨뜨릴 파), 옷의 껍질이 被(입을 피), 病이 들어 가죽만 남은 것이 疲(피폐할 피),

손으로 가죽을 틀어내는 것이 披(흩을 피)다.
  紋은 실과 文의 結合인데 文이 ‘교차된 무늬’에서 나온 만큼 그 자체가 본디 ‘무늬’를 뜻했다. 

그것이 後에 文章, 文字의 뜻으로 轉用되어하는 수 없이 새 글자를 만들어야 했는데,

옛날 무늬는 주로 五色 실을 사용하여 비단에 넣었으므로 실을 덪붙여 紋자를 만들었다. 

따라서 이것 역시 ‘무늬’다.  紋樣, 指紋이 있다.  따라서 波紋은 ‘물결의 무늬’다.


  唐의 詩人 白樂天이 초겨울의 어느 날 연못가에 앉아 깊은 思索에 잠겨 있었다. 

연못에는 살얼음이 얼어 있었고 초겨울 微風에 버드나무가 하늘거렸다. 

돌을 던지자 물결이 일면서 일제히 얼음이 깨지는 것이 아닌가.  문득 詩興이 일어 한 수 적었다.


     柳無氣力枝先動(유무기력지선동) - 버드나무는 힘없이 하늘거리고
     池有波紋氷盡開(지유파문빙진개) - 연못에 파문이 이니 얼음이 깨지네.


  [府西池]라는 詩다. 

이처럼 波紋은 번지게 되어 있다. 

그래서 一波萬波란 말이 있다.  말은 恒常 愼重해야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2016
363 鷄 肋 이규 2014.05.15 1958
362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2034
361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953
360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710
359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230
358 猶 豫 셀라비 2014.04.23 1896
357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973
356 明 堂 셀라비 2014.04.15 1949
355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942
354 旱 魃 셀라비 2014.04.04 1984
353 觀 察 셀라비 2014.03.28 1840
352 知 音 셀라비 2014.03.24 2127
351 官 吏 셀라비 2014.03.23 1838
350 秀 才 셀라비 2014.03.19 2029
349 社 會 셀라비 2014.03.18 1997
348 鼻 祖 셀라비 2014.03.17 1889
347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905
346 狡 猾 셀라비 2014.03.13 1964
345 完璧 셀라비 2014.03.12 2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