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6
어제:
328
전체:
772,053

한자 過猶不及

2014.02.25 20:43

셀라비 조회 수:1810

過猶不及

지날

오히려

아닐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음

孔子弟子중에는 綺羅星 같은 人物이 많다. 그의 弟子代表的哲人에 자장(子張)이 있다. [論語]에 의하면 그는 名譽慾이 좀 있었던 것 같다. 또 하나의 哲人중 자하(子夏)도 있다. 孔子는 그에게 小人儒가 되지 말고 君子儒

될 것을 强調했다. 小人儒知識追求하는데 급급한 學者를 지칭한다면君子儒는 진정 人格修養하는 學者를 말한다.

한번은 이 두 사람을 두고 弟子 자공(子貢)이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子張子夏 둘 중 누가 더 賢明하다고 보십니까?』

孔子卽席에서 했다. 子張하고 子夏不及이니라.

抽象的對答子貢은 더욱 궁금해졌다. 그래서 再次 물었다. 그렇다면 子張이 더 낫다는 말씀인지요?』

하지만 孔子對答은 이번에도 抽象的이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라(過猶不及).

孔子에게는 子張이나 子夏 둘 다 눈에 차지 않았던 모양이다. 즉 그가 바라는 것은 지나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不足하지도 않은 人格다시 말해 중용(中庸)境地였을 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品 評 셀라비 2014.06.24 1921
103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896
102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884
101 洞 房 셀라비 2014.07.02 2002
100 投 抒 셀라비 2014.07.03 1841
99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883
98 杜 撰 셀라비 2014.07.10 1878
97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954
96 輓 歌 셀라비 2014.07.15 2060
95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881
94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956
93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739
9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656
91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997
9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2063
89 矛 盾 셀라비 2014.08.19 1759
88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2045
87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788
8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722
85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