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74
어제:
781
전체:
777,617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685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庭 訓 이규 2014.01.03 1985
223 義 擧 이규 2013.10.21 1991
222 鼓 舞 이규 2013.11.01 1996
221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996
220 社 會 셀라비 2014.03.18 1996
219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997
218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2000
217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2003
216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2004
215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2005
214 諮 問 이규 2013.07.31 2010
213 破 綻 셀라비 2014.02.28 2016
212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2016
211 角 逐 셀라비 2013.11.14 2018
210 咫 尺 LeeKyoo 2013.12.15 2019
209 紅 塵 셀라비 2014.03.09 2019
208 雙 喜 셀라비 2014.02.16 2021
207 法 曹 이규 2013.08.13 2022
206 尋 常 셀라비 2013.12.18 2022
205 塗炭之苦 yikyoo 2014.05.29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