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58
어제:
781
전체:
777,601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680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西 洋 셀라비 2014.03.02 1982
143 文 獻 셀라비 2014.03.03 2228
142 復 古 셀라비 2014.03.04 2565
141 紅 塵 셀라비 2014.03.09 2019
140 完璧 셀라비 2014.03.12 2087
139 狡 猾 셀라비 2014.03.13 1964
138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903
137 鼻 祖 셀라비 2014.03.17 1884
136 社 會 셀라비 2014.03.18 1995
135 秀 才 셀라비 2014.03.19 2024
134 官 吏 셀라비 2014.03.23 1838
133 知 音 셀라비 2014.03.24 2125
132 觀 察 셀라비 2014.03.28 1838
131 旱 魃 셀라비 2014.04.04 1977
130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940
129 明 堂 셀라비 2014.04.15 1948
128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970
127 猶 豫 셀라비 2014.04.23 1894
126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226
125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