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70
어제:
795
전체:
775,166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760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149
363 道 路 이규 2013.08.17 2147
362 標 榜 이규 2013.08.10 2144
361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144
360 雲 集 이규 2013.08.09 2135
359 淸 貧 yikyoo 2014.06.15 2134
358 幣 帛 이규 2013.10.13 2129
357 黃 砂 이규 2013.07.18 2127
356 春困症 이규 2013.07.27 2123
355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122
354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2122
353 花 信 셀라비 2013.08.02 2121
352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2119
351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2116
350 至孝 이규 2012.10.29 2115
349 櫛 比 이규 2013.08.08 2111
348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109
347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109
346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2108
345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