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00
어제:
776
전체:
770,936

한자 座右銘

2014.04.09 19:37

셀라비 조회 수:1811

座右銘

자리

오른

새길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反省資料로 삼는 格言이나 警句를말한다. 그러나 原來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나라는 春秋五覇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묘당)을 세우고 各種 祭器陳列해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이상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다시 엎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弟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했던 孔子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었다. 擔當 官吏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椅子 오른쪽에 두고 가득 차는 것을 警戒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驕慢)을 부리는 는 반드시 를 당하게 되는 이니라.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椅子 오른쪽에 두고는 스스로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跛行 이규 2013.03.18 1598
383 民心 이규 2012.12.09 1599
382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601
381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02
380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05
379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08
37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608
377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611
376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612
375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613
374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614
373 西 方 이규 2013.05.23 1615
372 戰 國 이규 2013.06.09 1618
371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619
370 頭 角 이규 2013.06.07 1621
369 人質 이규 2012.12.27 1622
368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625
367 名分 이규 2013.02.11 1628
366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632
365 菽麥 이규 2013.02.02 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