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3
어제:
778
전체:
776,935

한자 座右銘

2014.04.09 19:37

셀라비 조회 수:1934

座右銘

자리

오른

새길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反省資料로 삼는 格言이나 警句를말한다. 그러나 原來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나라는 春秋五覇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묘당)을 세우고 各種 祭器陳列해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이상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다시 엎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弟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했던 孔子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었다. 擔當 官吏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椅子 오른쪽에 두고 가득 차는 것을 警戒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驕慢)을 부리는 는 반드시 를 당하게 되는 이니라.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椅子 오른쪽에 두고는 스스로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318
403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314
402 紛 糾 이규 2013.09.25 2310
401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309
400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303
399 快 擧 이규 2013.07.21 2299
398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295
397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291
396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2289
395 千字文 이규 2013.10.12 2286
394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285
393 人 倫 이규 2013.07.29 2283
392 持 滿 이규 2013.11.28 2279
391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279
390 問 鼎 이규 2013.11.23 2279
389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266
388 改 閣 이규 2013.08.26 2262
387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261
386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250
385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