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89
어제:
788
전체:
776,073

討 伐

2013.03.17 15:40

이규 조회 수:1631


討 칠토
伐 칠벌


 군대로 나쁜 무리를 침

 


  言語, 命令, 法律, 墳墓 등 비슷한 글자로 이루어진 單語들이 있다.  差異는 있지만 區別하지 않아도 無妨한 글자들이다.  그러나 大義名分이 걸려 있다면 嚴格하게 區別해야 한다.  一例로 같은 ‘죽음’을 뜻하는 漢字라도 天子가 죽으면 ‘崩’, 諸侯가 죽으면 훙(薨), 高官은 卒, 平民은 死가 된다.  물론 逆賊은 폐(斃)다.  일종의 개죽음이다.  諸葛亮이 [出師表]에서 劉備의 죽음을 두고 ‘崩조(붕조)’라고 表現한 것이 좋은 例다.
  宋의 歐陽修(1007~1072)는 大文章家이자 歷史家였다.  中國의 正史인 二十五史중 무려 두 권(新唐書, 新五代史)이 그의 손으로 쓰여졌다.  그가 歷史를 記述하면서 특히 重視했던 것은 大義名分였다.  그래서 글자 하나하나를 選擇하는데도 愼重에 愼重을 더했다.  예를 들어 戰爭의 境遇 攻은 雙方間의 戰鬪를 意味하고, 伐은 大國이 小國을 친 경우를 뜻한다.  또 討는 罪를 追窮하기 위해 相對方을 친 境遇, 征은 天子가 친히 戰爭에 參加한 境遇 등으로 區分했다.
  곧 討伐 두 자는 모두 ‘戰爭’을 뜻한다는 점에서는 共通이지만 微妙한 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武裝共匪에 대한 作戰을 두고 우리는 討伐로 表現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正 鵠 이규 2013.06.02 1746
343 淘 汰 이규 2013.05.28 1747
342 世代 이규 2012.11.13 1749
341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749
340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749
339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750
338 陳 情 이규 2013.06.23 1751
337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752
336 誘 致 이규 2013.06.17 1758
335 焦眉 이규 2012.12.05 1761
334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63
333 膺懲 이규 2013.02.18 1764
332 管轄 이규 2012.12.20 1768
331 不惑 이규 2012.12.17 1771
330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73
329 破廉恥 이규 2012.11.24 1776
328 獅子喉 이규 2013.02.12 1776
327 師表 이규 2013.02.04 1779
326 聖域 이규 2012.11.16 1781
325 矛 盾 셀라비 2014.08.19 1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