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9
어제:
815
전체:
773,780

白眼視

2013.03.20 07:40

홍석균 조회 수:3620

白(흰 백)眼(눈 안)視(볼 시)
눈알의 흰자가 드러나게 흘겨본다는 뜻으로,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를 말한다.
 
삼국 시대 이후에 이어진 위나라와 진나라 시대는 임금보다 세력이 강한 실력자가 나라를 쥐고 흔들어, 권력 투쟁으로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고 할 정도로 혼란스러웠다.
그러다 보니 정치의 바깥에 있는 백성들의 생활은 말할 수 없이 어려웠고, 현실 초월주의를 근간으로 한 노장 사상이
성하게 되었으며, 의식이 있는 지식인은 현실에 절망한 나머지 세상을 등지고 자연 속에 숨어 버렸다.
흔히 죽림칠현이라고 하는 혜강, 완적, 유영, 산도, 왕융, 향수, 완함 등 일곱 선비 역시 세상을 피해 숨어 살면서
현담과 술로 일생을 보냈다.
그 중에서도 완적은 좋고 싫음이 분명한 성격이어서 마땅찮은 상대는 백안시하며 상대도 하지 않았고, 특히 예절에
얽매이는 지식인을 속물이라고 몹시 싫어했다.
그는 당시의 세도 문벌인 사마씨에 대해서 감정의 골이 깊었지만, 아버지 완우가 조조 밑에서 벼슬살이를 한 데 수치를
느껴 세상을 외면한 채 술과 방종으로 자신을 학대했다.
어느 해 완적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혜강의 아우 혜희가 조문하러 갔다.
그러나, 완적은 눈을 흘기며 상대도 하지 않았다.
혜희는 자기가 싫어하는 예절 바른 사람 중의 하나였기 때문이다.
무안해진 혜희는 말도 채 붙이지 못하고 초상집을 나와 그 길로 형을 찾아가 하소연했다.
"아니, 원수진 사이도 아니고, 좋은 뜻으로 찾아간 사람을 그렇게 냉대할 수 있는 겁니까?"
"아우가 이해하게나, 그 친구는 워낙 좋고 싫음이 분명한 사람이거든"
빙그레 웃으며 이렇게 타이른 혜강은 그 길로 완적을 찾아갔다.
그러자 완적은 혜희의 일은 잊어버리고 아주 반갑게 맞이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6329
2442 풍요로움은 필연적으로 태만을 불러온다. 이규 2013.04.19 3646
2441 남이 잘되기를 바라고 돕는 사람이 군자다 LeeKyoo 2019.01.21 3645
2440 百戰百勝 홍석균 2013.03.23 3645
2439 직원들이 최선을 다하도록 독려하는 것 LeeKyoo 2023.01.19 3644
2438 행복한 사람들은 관계와 경험을 중시한다 LeeKyoo 2019.07.28 3644
2437 당연 심리를 경계하라. LeeKyoo 2023.01.23 3643
2436 경쟁은 패자가 하는 것이다 LeeKyoo 2019.04.26 3643
2435 희망 없이는 단 4초도 살수 없다. 이규 2013.05.10 3643
2434 彌縫 홍석균 2013.03.05 3637
2433 편안하게 반대할 수 있는 문화 만들기 LeeKyoo 2019.03.14 3634
2432 목적을 이루되 뽐내지 말라 LeeKyoo 2019.01.08 3630
2431 木梗之患 홍석균 2013.02.17 3630
2430 위대한 사람이라 믿어주면 그들은 그것을 증명해준다. [2] 이규 2013.09.09 3628
2429 위험이 클수록 성과와 기쁨도 크다 LeeKyoo 2019.03.13 3627
2428 감사와 불행을 동시에 느낄 수는 없다 LeeKyoo 2019.01.25 3622
2427 多岐亡羊 홍석균 2013.01.04 3622
» 白眼視 [1] 홍석균 2013.03.20 3620
2425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운이 좋아집니다 LeeKyoo 2020.02.12 3616
2424 모른 것을 모른다고 이야기 할 줄 아는 능력 leekyoo 2017.10.23 3612
2423 안정을 추구하면 성장이 멈춘다 leekyoo 2017.10.24 3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