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71
어제:
328
전체:
771,658

愚公移山

2013.04.16 21:39

이규 조회 수:1815

愚어리석을우
公사람공
移옮길이
山뫼산


 ‘인내’ 보다는 어리석음을 의미


  옛날에 아흔을 넘긴 한 어리석은 노인(愚公)이 있었다.  집 바로 앞에 太行과 王屋이라는 거대한 두 山이 가로 막고 있어 出入하기에 여간 不便하지 않았다.  그래서 家族會議를 하여 山을 송두리째 옮기기로 했다.  老人과 家族들은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 삽과 삼태기로 두 山을 파 옮기기 시작했다.
  이웃집에 智瘦(지수)라는 老人이 있었다.  그는 聰明하다고 自負하는 사람이었다.  老人 家族이 아침 일찍부터 낑낑거리며 山을 파 옮기자 우습다는 듯이 말했다.
  “여보 영감, 당신 참으려 어리석구려.  지금 나이가 몇인데 山을 옮기겠다는 거요.  머지 않아 죽을 사람이 … 내가 보기에는 언덕 하나도 제대로 옮기지 못하고 죽을 것 같은데 … ”
  “모르는 소리.  어리석은 사람은 내가 아니고 當身이구먼.  내가 죽으면 내 아들이 있고, 내 아들이 죽으면 다시 그 아들이 있소.  이렇게 子孫 代代로 山을 옮기다 보면 어쨌든 山의 크기는 작아지지 않겠소?”
  [列子]에 나오는 古事다.  흔히 이 古事를 통해 愚公의 忍耐를 말하곤 하지만 事實은 그의 어리석음을 밝힌 것이다.
  우리나 中國은 예부터 人間은 주어진 環境에 順應해야 한다는 생각이 支配的이었다.  자연을 改造하겠다고 달려들었으니 얼마나 어리석은 짓인가.  그래서 이름도 愚公이라 했던 것이다.  自然은 改造가 아니라 保護의 對象이 아닐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梅 雨 이규 2013.07.11 1902
243 義 擧 이규 2013.10.21 1901
242 庭 訓 이규 2014.01.03 1900
241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898
240 品 評 셀라비 2014.06.24 1896
239 鷄 肋 이규 2014.05.15 1895
238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893
237 濫 觴 셀라비 2014.06.20 1890
236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889
235 餓 鬼 셀라비 2013.12.17 1888
234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888
233 風塵 이규 2013.02.06 1888
232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886
231 狡 猾 셀라비 2014.03.13 1885
230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885
229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882
228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881
227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880
226 明 堂 셀라비 2014.04.15 1877
225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