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591
어제:
815
전체:
773,592

한자 道聽塗說

2014.06.25 20:51

셀라비 조회 수:1897

道聽塗說

들을

진흙

말씀

길거리에 퍼져 돌아다니는 뜬 소문

孔子[論語] 陽貨篇에서 말하기를, “먼저 길에서 들은 좋은 말{道聽}을 마음에 담아 두어 自己 修養樣式으로 삼지 않고, 다음 길에서 곧 남에게 일러 들리는{塗說} 것은 자기에게서 그 을 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선한 말{善言}은 모두 마음에 잘 간직하여 나의 것으로 삼지 않으면 을 쌓을 수 없다.” 고 하였다.

筍子가 쓴 [筍子] 勸學篇에는, “小人學文은 귀로 들어가 곧 입으로 흘러 나오고(口耳之學), 조금도 마음 속에 남아 있지 아니한다. 귀와 입사이는 약 네 치이지만 이만한 거리로서 어찌 7척의 身體를 아름답게 할 수 있으랴. 옛날에 學文을 한 사람은 자기를 위해 했으나 요새 사람은 배운 바를 곧 남에게 하고, 자기를 위해 하려하지 않는다.

君子自身을 아름답게 하는데, 小人輩은 사람을 動物로 만든다. 그러므로 묻지 않아도 한다. 이를 시끄러운 것이라 하며, 하나를 묻는데, 둘을 말하는 것을 饒說(수다쟁이)이라 한다. 둘 다 좋지 못하다. 참된 君子는 묻지 않으면 對答하지 않고, 물으면 그것 만을 對答한다..“고 하여 多辯訓戒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分 野 이규 2013.05.20 1439
443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443
442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446
441 赦免 [1] 이규 2013.01.27 1450
440 干 支 이규 2013.05.19 1452
439 波紋 이규 2013.01.27 1456
438 同盟 이규 2012.12.10 1460
437 寸志 이규 2013.02.06 1480
436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480
435 氾濫 이규 2012.12.26 1489
434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91
433 園頭幕 이규 2013.02.02 1500
432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501
431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504
430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510
429 秋毫 이규 2013.02.03 1514
428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520
427 洪水 이규 2013.02.02 1528
426 告由文 이규 2013.07.08 1533
425 賂物 이규 2012.12.11 1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