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15
어제:
781
전체:
777,558

한자 杜 撰

2014.07.10 20:27

셀라비 조회 수:1926

杜 撰

막을

지을

 

 

저술에 출처가 확실하지 않은

문자를 쓰거나 오류가 많음을 지칭

 

 

[야객총서(野客叢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두묵(杜黙)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좋은 詩想이 떠오르기에 紙筆을 꺼내어 를 한 수 지었는데, 韻律이 맞지 않는데가 여러 군데 있었다. 이 일로 인하여 일을 함에 있어 에 잘맞지 않는 것을 두찬(杜撰)’이라 일컫게 되었다 (著作이란 뜻).

通俗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도장(道藏-불교의 대장경) 5천여 권은 도덕경(道德經) 두 권만 眞本이고, 나머지는 모두 道士 두광정(杜光庭)著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僞作(다른 사람이 그 작자가 만든 것처럼 본떠서 비슷하게 만듦)두찬(杜撰)’이라 부르게 되었다.

나라 서위(徐渭)의 시화(詩話) 청등산인노사(靑藤山人路史)에 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라는 글자의 은 본디 와 같은데, 後代대신 를 쓰게 되었다. 지금은 오직 하나만 알고 全體的인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을 토기(土氣)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이다.

이상의 資料에서 본 바와 같이 杜撰이란 말이 상당한 慣用語임을 알 수 있다. 漢字의 본디 뜻과는 많이 벗어나서 쓰이는 말이라 하겠다. 글을 쓸때에는 杜撰에서 벗어나 引用出處著述出處를 반드시 밝혀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省墓 이규 2012.11.01 1637
403 封套 이규 2012.11.19 1637
402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639
401 討 伐 이규 2013.03.17 1643
400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650
39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652
39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652
397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656
39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658
395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60
394 跛行 이규 2013.03.18 1661
393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661
392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664
391 民心 이규 2012.12.09 1665
390 西 方 이규 2013.05.23 1666
389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667
388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669
387 古 稀 셀라비 2014.09.22 1669
386 白 眉 셀라비 2014.09.26 1669
385 颱 風 이규 2013.07.12 1671